원민경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여가부의 가장 시급한 정책 과제로 '여성가족부의 안정과 성평등가족부로의 확대·강화'를 꼽았다.
18일 원 후보자는 인사청문회 준비를 위해 서울 서대문구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으로 출근하며 취재진에게 "(여가부가) 존폐 논란과 장기간의 장관직 부재로 정책 추진 동력이 약화했을까 우려된다"며 "여가부는 다시 사회 곳곳에서 목소리를 내지 못한 분들의 권익 신장을 위해 열심히 일하는 부처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성평등가족부로의 확대 개편을 통해 성평등 정책의 총괄 조정과 거버넌스 기능을 강화하고, 부처 위상과 정책을 확대하는 힘 있는 성평등가족부를 만드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를 기반으로 교제폭력, 디지털 성폭력, 성매매와 같은 폭력 문제와 여성 경제활동 참여, 노동시장의 성차별 해소, 위기 취약가족·청소년에 대한 두터운 지원체계를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원 후보자는 성평등에 대한 청년 세대의 인식 격차가 심각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그동안 한국 사회의 성평등 수준이 개선돼 왔지만, 성별 임금 격차와 젠더 폭력에서 느끼는 안전 격차, 돌봄과 가사 노동에서의 성별 격차, 성평등에 대한 청년 세대의 인식 격차가 큰 것이 매우 심각하다"며 "다양한 격차 해소에 우선순위를 두고 정책을 추진해보고자 한다"고 말했다.
강간죄 개정 논의에 대해서는 "현행 형법상 가해자를 처벌하지 못하는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성폭력의 판단 기준을 기본권의 측면에서 보고자 하는 논의로 알고 있다"며 "반대 의견을 포함해 현장 전문가와 당사자, 관계부처인 법무부와 다양한 의견을 함께 논의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포괄적 차별금지법 제정에 대해서는 "사회 모든 구성원이 불합리한 차별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사회적 약자의 근본을 보호할 구제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과 의미가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며 "차별 시정과 해소를 위해 노력해온 국가인권위원회와 적극 협력해 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원 후보자는 "지난 20여년간 변호사로 일하며 사회의 가장 소외된 곳에서 스스로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분들의 목소리를 듣고 대신 전할 기회를 얻었다"고 말했다.
그는 "처음 장관 후보자 지명을 듣고 망설였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른 것이 바로 그분들의 얼굴이었다"며 "이제는 그분들의 목소리가 정책이 되고 제도가 돼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제힘을 보태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장관으로 임명된다면 아동,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과 다양한 가족 지원, 동등한 기회와 권리가 보장되는 성평등 사회 실현, 여성의 안전과 건강권 보장이라는 여가부 국정 과제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여성·가족법을 주력 분야로 삼아온 변호사인 원 후보자는 지난 13일 여가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됐다.
그는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여성인권위원장 출신으로, 2023년 7월부터 국가인권위원회 비상임위원으로 활동했으며 한국여성의전화 이사도 맡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난 충직한 일꾼…오직 국민만 믿고 직진"
"함께 보실 분"…李대통령, 내일 영화 '독립군' 국민 동반 관람
'전교조 출신 첫 교육부 장관, 민변 출신 여가부 장관'…청문회 순탄할까?
윤준병 "조국 사면 이후 사람들 침묵을 '아빠찬스' 동의로 해석하는 건 잘못"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