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 100명 중 8명은 기본적인 디지털 기기 조작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남성보다는 여성이, 연령이 높을수록, 도시보다는 농산어촌에서, 학력·소득이 낮을수록 '디지털 문해력'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의 제1차 성인디지털문해능력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국내 성인들의 디지털 문해능력 수준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조사로, 지난해 전국의 18세 이상 성인 약 1만 명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조사 결과 디지털에 대한 이해와 경험이 부족하고 일상생활에서 기본적인 디지털 기기 조작을 어려워하는 '수준 1'에 속한 사람은 8.2%였다. 이 가운데 60세 이상의 고령층은 23.3%에 달했다. 반면 청년층인 18∼39세의 경우 '수준 1'에 속한 사람은 0.8%에 불과했다.
중학교 졸업 학력 이하 성인은 34.6%로 고졸(6.3%), 대졸 이상(0.9%)과 차이가 컸다. 월 가구 소득 300만원 미만 성인은 25.9%로 300~500만원(4.9%), 500만원 이상(1.2%)보다 월등히 많아 소득에 따른 디지털 문해력 수준 차이 역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농어촌 지역(12.7%) 거주자들이 중소도시(8.6%)나 서울 및 광역시(6.1%)에 사는 사람들보다 디지털 기기 사용에 미숙한 것으로 파악됐다. 성별로는 여성이 10.0%로 남성(6.3%)보다 많았다.
기본적인 이해와 기기 조작이 가능하지만, 일상생활에 활용하기에는 미흡한 '수준 2'인 사람은 17.7%로 조사됐다. 디지털 기기나 기술을 활용해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나, 비판적으로 안전하게 활용하기에는 부족한 '수준 3'은 21.4%, 디지털 기기나 기술을 능숙하게 활용해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문제를 원활히 해결할 수 있는 '수준 4'는 절반이 넘는 52.8%였다.
우리나라 성인이 디지털 기기를 일상생활에 활용하는 목적으로는 '가족, 친구, 지인들과의 연락'이 97.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상생활 정보검색'(84.8%), '유튜브 시청 등 여가활동'(84.4%), '온라인 쇼핑, 전자결제'(70.8%)가 뒤를 이었다.
교육부는 이번 성인디지털문해능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 대상 인공지능(AI)·디지털 평생교육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 ▷ 찾아가는 디지털 문해교육 프로그램 '한글햇살버스' 확대 ▷은행·매장 등 학습장 확보 후 현장실습과 체험 제공 ▷저소득층 성인·노인 대상 평생교육이용권 지원 ▷30세 이상 성인 대상 디지털 평생교육이용권(AID 커리어 점프패스) 지원 ▷지자체의 AI·디지털 관련 특화 프로그램 운영 등의 정책을 펼칠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尹 구치소 CCTV 영상 보겠다"…민주당, '자료 제출' 요구하나
'전교조 출신 첫 교육부 장관, 민변 출신 여가부 장관'…청문회 순탄할까?
'조국 특사' 때문?…李대통령 지지율 51.1%, 취임 후 최저치
한동훈 "조국 씨, 사면 아니라 사실상 탈옥, 무죄라면 재심 청구해야"
"횡령 의도 없다"…경찰, 문다혜 '바자회 모금 기부 의혹' 무혐의 처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