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의 마음 건강이 심각한 문제가 생겼음을 알리는 경고등이 각종 통계를 통해 드러나고 있다.
31일 통계청의 '분기별 고의적 자해 사망자 수' 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에만 극단적 선택으로 숨진 19세 이하 청소년이 180명으로 집계됐다. 분기별로 살펴보면 1분기(1∼3월)에는 79명, 2분기(4∼6월)에는 101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 각각 18명, 11명이 감소한 수치이긴 하지만 해당 연령대의 전체 인구를 고려하면 여전히 많은 수준이다.
전국 시도교육청이 파악한 초·중·고등학생의 자살률 또한 꾸준히 높아지는 양상이다. 2020년 인구 10만명당 자살 학생 수는 2.77명이었으나 2021년에는 3.72명, 2022명 3.68명을 기록했다. 그러다 2023년 4.11명으로 4명대를 돌파했고 지난해에는 4.31명으로 치솟았다.
교육부와 질병관리청이 전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매년 시행하는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도 10대 마음 건강의 적신호가 켜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결과를 살펴보면 '최근 1년 동안 2주 내내 일상생활을 중단할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답한 학생은 27.7%에 달했다.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12.7%였고, 자살을 구체적으로 계획한 사람은 4.8%였다. 실제로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다고 답한 학생도 2.8%나 됐다.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들의 마음 건강을 지키고 자살·자해 등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지만 정서·행동 특성검사 시스템에 여러 허점이 존재, 여전히 고위험 학생을 미리 발견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다는 목소리가 계속 나오고 있다.
전문상담교사인 정유선 교사노조 정책국장은 "정서·행동 특성검사의 신뢰도와 타당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은 10년 넘게 지속되고 있다"며 "수정을 거듭하고는 있지만 학생들을 직접 만나는 심리상담 전문가 입장에선 여전히 고위험 학생을 거르기엔 부족한 면이 있다"고 말했다.
정 국장은 또 "서울 소재 학교를 예로 들면 전문상담교사가 있는 곳은 절반가량에 불과하다"며 "그러다 보니 학생이 상담·치료를 받도록 학부모들을 설득하는 사람이 학교마다 다르고 전문성도 상이하다"고 짚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이진숙 방통위원장 직권면직 검토
국힘 '이진숙 면직검토'에 "그 논리면 임은정은 파면"
국민의힘 "728조 내년 예산, 포퓰리즘 가득한 빚더미"
"아빠, 왜 돈 준다는 아저씨 뽑았어요?"…이준석이 올린 동영상 화제
[야고부-석민] 여론 조사? 여론 조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