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상승하는 대구 전월세 전환율, 올해 6월 6.6%…'전국 평균보다 높아'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요약정보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 요약문은 AI가 작성했습니다. 기자가 직접 취재한 심층적인 이야기와 중요한 맥락은 본문에서 확인하셔야 합니다.

대구 도심 상공에서 바라본 주택가. 매일신문 DB
대구 도심 상공에서 바라본 주택가. 매일신문 DB

지난해 하반기부터 대구 지역 주택 시장 전월세 전환율이 상승세를 보이면서 전국 평균을 웃돌고 있다.

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대구 지역 전월세 전환율(6월 기준)은 6.6%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10년(2016년 1월~2025년 6월) 중 최저 전월세 전환율을 보인 2024년 7월(5.7%) 대비 0.9%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전월세 전환율은 전세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비율로, 수치가 상승할 경우 월세가 높아졌다는 것을 일컫는다.

대구 전월세 전환율은 지난해 7월 전국 평균(5.8%) 이하 수준이었으나, 8월부터 10월까지 전국 평균 수준으로 전월세 전환율이 올랐다. 이후 상승폭이 커지면서 대구 전월세 전환율은 6월 기준 전국 평균(6.5%)을 웃돌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전세 사기 증가는 물론 대출 금리, 보증금 부담 등이 커지면서 아파트를 제외한 연립·다세대·단독 주택 등에서 두드러졌다.

연립·다세대 주택은 2024년 6월 6.0%에서 상승국면에 접어들며 7.3%까지 올랐고, 단독 주택도 지난 2024년 6월 7.4%에서 1년 만에 7.9%로 상승했다.

이에 반해 아파트는 지난해 6월 5.4%에서 지난해 11월부터 5.2%를 유지하고 있다 .

송원배 빌사부 대표는 "그동안 전세는 저금리 대출과 안전망을 활용해 목돈을 마련하고 내 집 마련을 위한 징검다리 역할을 해왔다"며 "그러나 전세 사기가 증가하고 보증금에 따른 금리, 보증금 미반환 우려 등이 겹치면서 월세로 전환하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최근에는 집 구매를 고려하지 않거나, 한 곳에서 오랫동안 살기보다 자주 주거지를 옮기는 등의 수요도 생겨나고 있어 월세 중심으로 구조가 변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