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문가들 "9.7 부동산 대책, 수도권 중심 매매가 상승 움직임 제한할 수 있어"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모습. 연합뉴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모습. 연합뉴스

정부의 발표한 9.7 주택공급 확대 방안에 대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형성된 매매가 상승 움직임을 제한할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8일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2030년까지 수도권에서 매년 27만호, 총 135만호 규모의 신규주택 착공을 추진한다는 점이 긍정적"이라며 "중장기적으로 정부의 강력한 주택공급 의지를 피력해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 불안감을 다독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수도권의 매매가 상승 움직임도 제한될 것으로 예측했다.

함영진 랩장은 매입과 거주를 분리하거나 한 채 더 사두는 단기 투자수요 억제에 도움을 주면서 당분간 거래 진정상태도 지속할 전망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가을 이사철 수도권 중심의 매매가 상승 움직임도 제한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도 "이번 대책은 장기(공급)처방과 단기(수요억제) 정책을 동시에 하는 양동작전"이라며 "가을 이사철 앞두고 공급부족 불안심리를 진정시키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부는 주택공급 확대 방안을 내놓으며 오는 2030년까지 서울·수도권에 총 135만가구 규모 주택을 착공하겠다고 밝혔다. 연간 27만가구 규모다.

이는 최근 3년간 공급된 주택 물량의 1.7배에 달한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주택공급 관리 기준을 기존 인허가에서 착공으로 바꾼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함 랩장은 "주택공급 관리 목표를 인허가에서 착공으로 현실화하며 계획과 준공 시차의 괴리를 줄이는 전략은 수요자의 공급착시를 최소화한다는 면에서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양지영 신한 프리미어 패스파인더 전문위원도 "분양계획이 아닌 착공 기준 관리로 공급 목표를 재설계한 점에서 실효적 공급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채상욱 커넥티드그라운드 대표도 "윤석열 정부 기간 공급대책이 인허가를 기준으로 삼아 현실성이 없었는데, 착공 기준으로 바뀐 점을 환영한다"고 평가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