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국과의 무역전쟁 국면 속에서 국제무대에서 반미 연대를 강화하고 있다. 그는 8일 브릭스(BRICS) 정상 화상회의에 참석해 "일부 국가가 관세 전쟁을 일으켜 세계 경제와 무역 규칙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고 공개 비판했다. 구체적 국가명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최근 각국과 무역 갈등을 벌이는 미국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이날 회의는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브라질 대통령 초청으로 열렸다. 시 주석은 "세계에 패권주의, 일방주의, 보호주의가 만연하다"며 "브릭스 국가들은 글로벌 사우스의 최전선에서 다자주의와 다자 무역 체제를 수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글로벌 거버넌스 이니셔티브를 추진해 공정하고 합리적인 국제 체계를 만들겠다"며 "국제 관계의 민주화를 통해 신흥국과 개도국의 대표성과 발언권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구상은 지난 1일 톈진에서 열린 상하이협력기구(SCO) 정상회의에서 제시된 바 있다.
시 주석은 또 유엔과 세계무역기구(WTO)를 중심으로 국제 질서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제 세계화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며, 개방과 협력 없이 발전은 불가능하다"며 "모든 형태의 보호주의에 반대하고 다자무역체제를 지켜야 한다"고 말했다.
브릭스는 중국·브라질·러시아·인도·남아프리카공화국 등 5개국이 창설했으며, 지난해 에티오피아, 이집트,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UAE, 아르헨티나가 합류하며 세를 키웠다. 시 주석은 지난 7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정상회의에는 불참했으나 이번 회의에는 화상으로 참석했다.
중국은 최근 미국 견제를 정면으로 반박하는 외교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시 주석은 3일 베이징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초청해 북중러 연대를 과시했다. 이는 1959년 이후 66년 만의 3국 정상 회동이었다.
전승절 연설에서 그는 "세계가 평화와 전쟁, 대화와 대결의 기로에 서 있다"고 말하며 미국을 겨냥했다. 앞서 1일 SCO 정상회의에서도 "냉전적 사고와 진영 대결, 괴롭힘 행동에 반대한다"고 언급해 반미 결집을 촉구했다.
댓글 많은 뉴스
장동혁 "한동훈과 같이 못간다…해당 행위엔 강력 조치"
李 대통령 지지율 70% 육박…'여론조사꽃' 조사결과
'700조 선물 외교'에도 뒤통수 친 미국, 혈맹 맞나
대통령실 결단에 달린 'TK신공항 자금난'…대구시 '新 자금 계획' 예고
장동혁, 李 대통령에 "특검법 개정안·내란특별재판부에 거부권 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