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10일 오후 시청 산격청사에서 '국립치의학연구원 유치추진단 회의'를 열고 연구원 유치를 위한 전략을 논의했다. 홍성주 경제부시장이 주재한 회의에는 박세호 대구시치과의사회장을 비롯해 경북대 치과병원, 메가젠 임플란트 등 지역 치과학계·의료계·산업계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해 힘을 모았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난해 8월 출범한 유치추진단의 활동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향을 공유했다. 대구시는 지금까지 유치 타당성 연구용역, 전문가 포럼, 중앙부처·정치권 설득, 대외 홍보 등 다각적인 노력을 펼쳐왔다. 이번 회의에서는 향후 후보지 공모에 대비해 유치 논리를 보강하고, 구체적 실행계획을 마련하는 데 방점을 찍었다.
대구는 치과산업 중심지로서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다. 비수도권 최대 규모인 치과산업 기반을 갖춘 대구는 치과기업 수(42개), 종사자 수(1천602명)에서 전국 3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생산액과 부가가치액에서는 전국 2위를 차지한다.
특히 경북대학교 치과대학과 치과병원,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수성알파시티, 한국뇌연구원 등과의 연계를 통해 기초 연구부터 임상, 산업화까지 이어지는 '풀 밸류체인' 구축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연구원 유치에 최적지로 꼽힌다.
대구시는 10월 치의학 전문가 초청 세미나 개최와 시민 공감대 확산을 위한 홍보영상 제작으로 유치 분위기를 고조시킬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전국적 관심을 모으고, '덴탈시티 대구'의 위상을 공고히 한다는 방침이다.
홍성주 경제부시장은 "대구는 국내 최고 수준의 치과산업 인프라와 연구·임상·산업을 연결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며 "국립치의학연구원이 반드시 대구에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에 '폴더 인사' 중진들"…국힘 초선들 '자괴감' 토로
李 대통령 지지율 70% 육박…'여론조사꽃' 조사결과
李대통령 "고신용자 부담으로 저신용자 싸게 빌려주면 안 되나"
'700조 선물 외교'에도 뒤통수 친 미국, 혈맹 맞나
나경원·한동훈 "손현보 목사 구속 지나쳐, 종교 탄압 위험 수위 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