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전국 1천726개 마을기업의 판로 확대를 위해 우체국쇼핑몰과 지하철역사를 활용한 온오프라인 동시 지원에 나선다.
행정안전부는 14일 "마을기업의 안정적 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온·오프라인 판로 개척을 본격 지원한다"고 밝혔다. 그동안 마을기업 제품이 지역 내 한정된 유통망을 중심으로만 판매돼 판매량 확대에 어려움을 겪어온 점을 개선하겠다는 취지다.
마을기업은 지역 주민이 지역자원을 활용한 수익사업으로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고 인구 소멸 등 지역문제를 해결하는 마을 단위 기업이다. 2011년부터 지정이 시작돼 올해 기준 1천726개가 운영되고 있다.
온라인 판로 지원으로는 우체국쇼핑몰에 추석 맞이 '마을기업 브랜드관'을 15일부터 다음 달 31일까지 운영한다. 이 행사는 2022년부터 시작했으나 지난해 예산 삭감으로 중단됐다가 올해 재개되는 것이다.
대표적인 민간 유통 플랫폼인 G마켓과 협업한 'G마켓 상생페스티벌'도 7월 1일부터 내달 31일까지 운영하고 있으며, 17개 마을기업이 참여해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외국 온라인 판로 개척 성과도 나타났다. 지난 5월 마을기업을 선정해 중국 알리바바그룹 본사를 방문한 결과 경북 의성의 '애니콩'이 알리바바에 입점을 완료했다. 역시 의성에 있는 '한톨'과 울진의 '매야전통식품' 등도 추가 입점을 협의하고 있다.
오프라인 판로 지원으로는 서울교통공사와 협업해 서울 지하철 합정역·압구정역 등 유동 인구가 많은 지하철 주요 역사 공간을 활용한 현장 팝업스토어(서울Pick)를 16일부터 약 3주간 운영한다. 이 팝업스토어는 지난 5월 운영 당시 만족률이 91%로 매우 높게 나타나 다시 추진되는 행사다. 행안부가 임대료를 전액 부담해 참가 희망 마을기업들은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지난 6월에는 한국MD협회와 협력해 제품 품평회를 개최해, 국내 대형유통사 MD가 48개 마을기업 상품판매 전략을 컨설팅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마을기업 11곳을 선정해 '재도약 컨설팅'도 지난달부터 진행하고 있다. 충남 태안 영목항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마을기업 '영목마을'은 컨설팅을 통한 매장 환경 개선으로 이용률을 두 배 가까이 끌어올렸으며, 올해 행안부 우수 마을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발전의 계기를 마련했다.
행안부는 한전KDN과 함께일하는재단과 협업으로 17일 공모를 진행해, 선정된 인구감소지역 마을기업 8곳을 대상으로 내달부터 2달 동안 IT 기기 및 소프트웨어 도입을 위한 스마트화를 본격 지원할 계획이다.
행안부는 내년도 예산안에 마을기업 관련 예산 53억원을 편성했다. 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신규 마을기업에 대한 성장자금 지원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올해는 예산 편성 문제로 신규 마을기업이 지원금 없이 '마을기업'으로만 지정됐으나, 삭감됐던 예산이 재반영됨에 따라 내년부터는 자금 지원이 다시 이뤄진다.
윤호중 행안부 장관은 "마을기업이 지역공동체 복원과 지역 경제의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마케팅·금융지원 및 국내외 판로 개척 등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추가로 마련하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