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내 기술 스마트도시 플랫폼, ITU-T 국제표준 제정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108개 지자체 보급 실시간 이벤트 모니터링
해외수출 기반 마련…필리핀·중국 등 진출

국토교통부는 16일
국토교통부는 16일 "국내 기술로 개발된 '실시간 이벤트 모니터링 및 통합관리 스마트도시 통합플랫폼'이 ITU-T SG20에서 15일(현지시간) 국제표준으로 제정됐다"고 밝혔다.. 그림은 이미지 생성 AI인 '달리3'(DALL·E3)가 을 그린 이미지. 매일신문 DB

국내 기술로 개발된 스마트도시 통합플랫폼이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에서 국제표준으로 제정됐다.

국토교통부는 16일 "'실시간 이벤트 모니터링 및 통합관리 스마트도시 통합플랫폼'이 ITU-T SG20에서 15일(현지시간) 국제표준으로 제정됐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2015년부터 외산 장비 의존율을 낮추기 위해 방범·방재·교육 등 정보시스템을 연계·활용해 다양한 도시상황을 관리하는 기술인 스마트도시 통합플랫폼을 개발해왔다.

스마트도시 통합플랫폼은 국내 보급은 물론이고, 수출 기반 마련 및 확산을 위해 약 3년 동안 SG20 회원국과 협력해 표준 요구사항을 보완한 끝에 국제표준으로 제정됐다. 외국에는 필리핀·중국·인도네시아·터키 등에 보급됐다.

스마트도시 통합플랫폼은 도시데이터 수집·분석·활용·모니터링 등의 기능을 갖춘 도시 관리 플랫폼으로 시간 및 위치기반의 실시간 상황 정보 처리 기능을 통해 도시 서비스 제공의 효율성을 높인다.

또 지리정보시스템(GIS) 기반의 단일 아이콘 형태로 상황 정보를 시각화해 재난이나 긴급 상황 발생 시 담당자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플랫폼은 이벤트 브로커(Event Broker), 이벤트 핸들러(Event Handler), 실시간 이벤트 모니터(Real Time Event Monitor), 워크플로 매니저(Workflow Manager) 등 네 가지 주요 기능으로 구성됐다.

이벤트 브로커는 사용자 간 메시지를 통한 실시간 현황 공유 및 날씨·과거 데이터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벤트 핸들러는 이벤트 유형과 처리 방법을 결정하며 이벤트 추적을 관리한다. 실시간 이벤트 모니터는 GIS와 카메라로 수집된 내용들을 활용해 현황을 표시하며 감지 즉시 모니터링을 진행한다.

국내 스마트도시 통합플랫폼 기반구축사업을 통해 2015년부터 2021년까지 대구 수성구, 경북 포항 등 108개 자치단체에 플랫폼이 구축됐다. 이후 도시안전망으로 확대해 지난달 말 기준 전체 자치단체 구축을 완료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2021년 ITU-T SG20에 스마트도시 통합플랫폼 신규 표준화를 제안하고 회원국 요구사항을 수정·보완해 올해 제정을 완료했다.

윤종빈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이번 국제표준 제정은 전 세계 도시 간 상호 호환성을 향상시켜 국내 우수한 스마트도시 관련 기업의 외국 시장 진출에 교두보 역할을 할 것"이라며 "앞으로도 국내 스마트도시 산업 발전 및 해외진출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