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박연미 디자이너의 세계 명품 이야기] 미우미우(Miu Miu)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미우미우의 가죽 보 백
미우미우의 가죽 보 백

명품 하면 흔히 떠오르는 이미지는 장인의 손길, 오랜 역사, 대대손손 이어온 전통이다. 에르메스의 버킨백, 샤넬의 클래식 플랩, 루이비통의 트렁크는 모두 '시간이 쌓여 만든 권위'를 상징한다. 그러나 오늘날의 럭셔리 시장은 과거와 달라졌다. 헤리티지 대신 바이럴이, 장인정신 대신 화제성이 브랜드 가치를 움직이고 있다.

럭셔리 시장의 전반적인 침체 분위기 속에서도 전년 대비 80-90%대의 경이로운 매출 성장을 기록하며 독주하는 브랜드. 틱톡과 인스타그램 피드를 점령하고, Z세대의 옷차림을 정의하며, 그 중심에는 1993년, 프라다 그룹에서 태어난 세컨드 라인이 있다. 바로 미우 미우(Miu Miu). 30년이라는 짧은 시간 안에, '가장 핫한 명품'으로 부상했다.

미우미우 FW25 캠페인
미우미우 FW25 캠페인

◆미우치아 프라다의 페르소나, 미우미우의 탄생

미우미우는 프라다의 크리에이티브 디렉터인 미우치아 프라다(Miuccia Prada)의 애칭 "미우미우"에서 비롯됐다. 프라다가 지적이고 실험적이며 미니멀한 패션을 상징한다면, 미우미우는 좀 더 발랄하고 즉흥적이며 장난스러운 성격을 띠고 있다.

미우치아는 프라다가 통제된 지성을 대변한다면, 미우미우는 또 다른 자아의 자신을 비추는 거울이었다. 초기 컬렉션은 경쾌한 드레스, 자유로운 패턴, 젊은 세대의 예측 불가능한 감각과 일탈의 상징이 되었고 아름다움과 추함, 규율과 혼돈을 넘나드는 그녀의 페르소나가 '미우미우 걸'이라는 문화적 아이콘으로 구체화되며, 새로운 명품의 신화를 써 내려가기 시작했다.

아이브 장원영의 카우보이 변신-빈티지한 웨스턴 무드를 연출.
아이브 장원영의 카우보이 변신-빈티지한 웨스턴 무드를 연출.

◆반항과 사랑스러움의 공존, '미우미우 걸'의 진화

▶태도(Attitude)로 정의되는 뮤즈

'미우미우 걸'은 나이도, 외모도 아닌 하나의 태도다. 순수하면서도 도발적이고, 지적이면서도 충동적이다. 엉망인 듯 보이지만 치밀하게 계산된 스타일. 이 모순과 양면성이 바로 미우미우의 정체성이다.

▶1990년대: 쿨하고 반항적인 아이콘의 등장

브랜드 초기, 미우미우는 당대 가장 '쿨한' 아이콘들을 통해 자신들의 정체성을 확립하며 배우 클로에 셰비니와 드류 베리모어는 초기 '미우미우 걸'의 원형이었다. 무심한 시크와 사랑스러운 퇴폐미가 공존하며, 기존 정형화된 미의 기준을 거부하고 자신만의 스타일을 가진 독립적인 여성상을 제시했다.

미우미우 로고
미우미우 로고
완더 마테라쎄 나파 가죽 호보 백
완더 마테라쎄 나파 가죽 호보 백

▶2000년대-2010년대: 다양성의 확장과 영화적 서사

2000년대 미우미우는 더욱 다양한 얼굴들을 발굴하기 시작했다. 커스틴 던스트, 엘르 패닝 등 할리우드의 젊은 연기파 배우들이 캠페인에 등장하며 미우미우 걸의 이미지는 더욱 풍성해졌다.

특히 미우미우는 단순한 모델 캐스팅을 넘어, '여성들의 이야기(Women's Tales)'라는 단편 영화 프로젝트를 통해 여성 감독, 배우들과의 깊이 있는 협업을 진행했다. 이는 미우미우가 패션을 넘어 문화적 담론을 형성하고, 여성의 시선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고자 하는 브랜드 철학을 드러냈다.

미우미우 아이코닉 백
미우미우 아이코닉 백

▶2020년대: Z세대의 아이콘과 젠더의 경계 해체

오늘날 미우미우 걸은 Z세대의 아이콘으로 틱톡과 같은 새로운 플랫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Z세대와의 교감에 성공했다. 소녀시대의 윤아, 아이브의 장원영, 트와이스의 모모 등 K팝 스타들을 앰버서더로 기용하며 아시아 시장에서의 영향력을 극대화했으며 시드니 스위니, 엠마 코린과 같은 차세대 배우들을 통해 동시대적인 이미지를 구축했다.

런웨이는 젠더 플루이드, 다양한 인종과 체형의 모델들로 채워지며 '소녀'의 개념을 새롭게 재정의했다.

아르카디 마테라쎄 나파 가죽 백,미우미우 모델
아르카디 마테라쎄 나파 가죽 백,미우미우 모델

◆실적으로 증명된 신드롬

미우미우가 만들어낸 문화적 신드롬은 실제 비즈니스 성과로 고스란히 이어졌다. 전 세계적인 럭셔리 시장이 둔화되고 많은 브랜드들이 역성장을 기록하는 상황 속에서, 미우미우의 성장세는 '경이롭다'는 표현이 어울릴 정도다.

프라다 그룹의 실적 발표에 따르면, 미우미우는 2024년 1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89%라는 폭발적인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2024년 연간 실적으로는 93%의 성장을 기록하며 그룹 전체의 성과를 견인했다. 이러한 성공 덕분에 미우미우는 영국 글로벌 패션 리서치 플랫폼 리스트(Lyst)가 분기별로 발표하는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브랜드' 순위에서 여러 차례 1위를 차지하며, 메인 브랜인 프라다를 넘어서는 인기를 증명하기도 했다.

미우미우 아테네움 팝업 프로젝트
미우미우 아테네움 팝업 프로젝트

◆미우미우 아테네움 팝업 프로젝트

미우미우는 2025년 가을(Fall/Winter 2025) 시즌을 맞아 선보인 테마 팝업 프로젝트로 전통적인 대학 스타일(collegiate style)에서 영감을 받아 2025년 9월 10일 중국 선전과 일본 도쿄에서 동시에 시작했고, 이후 홍콩, 오사카, 베이징, 서울 등 아시아 주요 도시들을 순회한다.

의상 스타일은 스트라이프 캐시미어 스웨터, 체크 무늬 셔츠, 플리츠 스커트, 테일러드 쇼츠, 등 캠퍼스 룩의 전형적인 요소들을 미우미우 특유의 스타일로 선보였다.

미우미우 콜라보레이션 브랜드.왼쪽부터 뉴발란스,처치스,쁘띠 바토와의 콜라보레이션
미우미우 콜라보레이션 브랜드.왼쪽부터 뉴발란스,처치스,쁘띠 바토와의 콜라보레이션

◆미우미우의 콜라보레이션 브랜드

▶스니커즈를 다시 정의하다: 뉴발란스(New Balance)

스트리트 컬처의 상징인 스니커즈를 하이패션의 시선으로 해체하고 재해석했다. 뉴발란스의 574, 530 스니커즈 아이템을 의도적으로 거칠게 마감 처리한 디테일로 빈티지한 매력을 극대화하며 출시마다 큰 인기를 끌었다.

▶전통에 개성을 입히다: 처치스(Church's)

150년 역사의 영국 정통 슈즈 브랜드 처치스(Church's)와 미우미우의 협업은 2023년부터 2024년에 걸쳐 진행되었고, 1929년 선보였던 처치스의 '상하이' 슈즈를 새롭게 재해석했다.

브로그 슈즈, 몽크 스트랩과 같은 전통적인 남성용 구두 실루엣이 미우미우의 손끝에서 전혀 다른 분위기를 띄며 클래식에 반항적인 숨결을 불어넣으며 성공적인 결합으로 평가받았다.

▶순수함의 재발견: 쁘띠 바토(Petit Bateau)

유럽 가정의 아이들을 위한 베이직 웨어 브랜드, 쁘띠 바토(Petit Bateau)와의 협업은 2025 S/S 캠페인을 통해 공개되었다. 유년 시절의 순수함과 편안함으로 유명한 프랑스 브랜드 쁘띠 바토의 부드러운 코튼 아이템을 미우미우의 시선으로 재해석했다.

◆지속가능성을 향한 프로젝트

미우미우와 프라다 그룹은 지속가능성을 위한 나름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대표적인 프로젝트가 2020년에 시작된 '업사이클드 바이 미우미우(Upcycled by Miu Miu)' 컬렉션이다. 이 프로젝트는 전 세계 빈티지 마켓에서 수집한 의류들을 해체하고 재조합하여 완전히 새로운 디자인으로 재탄생시키는 작업이다.

리바이스(Levi's)의 빈티지 데님이나 1930년대부터 80년대까지의 빈티지 드레스를 활용한 컬렉션은 패션계에 신선한 충격을 주며, 지속가능성이 창의성과 어떻게 결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었다.

업사이클드 바이 미우미우 컬렉션
업사이클드 바이 미우미우 컬렉션

프라다 그룹 차원에서도 '사람, 지구, 문화'라는 3대 지속가능성 원칙 아래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재생 나일론(Re-Nylon) 프로젝트를 통해 해양 폐기물로 만든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나, 공급망 전반에 걸쳐 공정 노동과 환경 기준을 강화하려는 노력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다양성, 형평성 및 포용성 위원회'를 설립하여 조직 내 다양성을 확보하고 소수자를 지원하는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노력들이 럭셔리 패션 산업이 가진 구조적인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는 없다. 하지만 미우미우가 자신들의 영향력을 인지하고, 비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앞으로 미우미우가 창의적인 디자인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브랜드로서 어떤 행보를 보여줄지 주목해야 할 이유다.

박연미 디자이너 명장,디모먼트 디자이너
박연미 디자이너 명장,디모먼트 디자이너

박연미 디자이너 명장,디모먼트 디자이너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