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가자지구 휴전 합의 1단계 발효 이틀째인 11일(현지시간) 이스라엘군이 떠난 가자시티로 복귀했다. 아울러 하마스는 가자지구 통제를 위해 새 지역 수장 5명을 임명하고 대원 7천명도 소집했다.
BBC 방송에 따르면 하마스는 전화 통화와 문자 메시지로 대원을 소집했다. 메시지에는 "우리는 가자지구를 무법자와 이스라엘 협력자로부터 정화하는 국가적, 종교적 의무의 소명에 응해 총동원을 선언한다"고 적혔다.
하마스 무장 대원은 이미 여러 지역에 배치됐다. 가자지구 경찰복을 입은 이도 있고 민간인 복장도 있다. 알자지라 영상 등을 보면 소총을 들고 복면과 '내부 보안'이라고 쓰인 모자를 쓴 남성들이 차량을 검사하는 등 활동하고 있다. 하마스 내무부는 전날 성명에서 경찰력이 가자지구 전역에 배치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블룸버그 통신도 전날 이스라엘군이 철수한 지 몇 시간 뒤부터 가자지구 주민 수만명이 하마스 대원들이 감독하는 가자시티로 돌아오고 있다고 전했다.
종전 후 가자지구 통치가 어떻게 될지 불확실성은 여전히 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평화구상엔 하마스를 전후 가자지구 통치에서 배제한다.
하마스와 다른 무장 정파들은 10일 발표한 성명에서 "어떤 외국 후견도 단호히 거부하며 가자지구의 통치 형태를 결정하는 것은 팔레스타인 내부 문제임을 확인한다"고 밝혔다. 하마스 정치국 고위 관리인 호삼 바드란는 11일 AFP 통신과 인터뷰에서 팔레스타인 영토를 떠날 뜻이 없으며 전쟁이 재개된다면 싸울 것이라고 했다.
가자지구 내부적으로 유혈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가자지구 내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에서 일했던 한 전직 보안 관리는 "하마스는 바뀌지 않았다"며 "그들은 여전히 무기와 폭력만이 생존 수단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한편, 휴전 발효 후 72시간 내로 생존 인질을 모두 풀어준다는 1단계 합의에 따라 석방 시한은 오는 13일 정오다. 하마스가 생존 인질 20명을 먼저 석방하면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수감자 250명과 전쟁 이후 구금된 가자지구 주민 1천700명을 풀어줘야 한다. AFP 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교정당국은 11일 오후 교도소 2곳에 있는 석방 대상 수감자들을 이송하기 시작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민주당, 1만명 넘는 학원연합 집단당원가입 받았다
주진우 "학부모 유괴 불안 떨 동안 이재명 정부 뭐했나"
김은혜 "중국인 부동산·의료·선거 '3대쇼핑' 방지법 당론추진"
새벽 5시, 인력시장 찾은 김민석 총리…"일자리 많이 늘릴 것"
숨진 양평 공무원 메모 공개되자, 특검 "실제 유서 아냐…강압조사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