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라이즈 센터장 자격·임기 제각각…17명 중 10명은 교육 경력 없어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라이즈 센터장 인선 기준 '없다시피'…지역마다 제각각
공무원·민간인 혼재, 임기·보수도 들쭉날쭉
17명 중 10명 교육경력 無…"전문가 중심 인사 시급"

지난 7월 열렸던 경북대 대구 라이즈 사업단 발대식, 경북대 제공
지난 7월 열렸던 경북대 대구 라이즈 사업단 발대식, 경북대 제공
지난 3월 경주에서 열린
지난 3월 경주에서 열린 '제2회 경상북도라이즈(RISE)위원회'에서 임원들이 기념촬영을 했다. 경북도 제공

교육부가 지역·대학 혁신을 지원하는 라이즈(RISE) 사업이 올해부터 본격 시행됐지만, 핵심 역할인 라이즈 센터장의 자격과 임기가 지역마다 제각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센터장 17명 중 10명은 대학·교육 관련 주요 경력이 없었다.

15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이 교육부와 전국 17개 시도에서 제출받은 라이즈 센터장 임명 자료에 따르면, 센터장 인선에 대한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임명 절차, 선정 기준, 봉급, 지위, 임기까지 지역마다 모두 달랐다.

라이즈는 지역 이해도가 높은 지방자치단체가 대학 재정지원 예산 집행권을 행사해 대학이 지역사회와 연계 속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추진된 사업이다. 각 시도에 신설된 라이즈 센터가 사업 진행을 전담한다.

그러나 센터장 임명에 관한 교육부 규정은 지난해 말 마련된 '라이즈 운영 규정' 훈령이 전부다. 훈령에는 '각 지자체장이 지역 협력 가능한 자를 라이즈 위원회에 추천하고, 위원회에서 심의·의결한다'는 내용만 명시돼 있을 뿐, 구체적인 자격 기준은 없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지역이 지자체장 추천에 의존했으며, 서울·충북 등 일부만 공개 채용으로 센터장을 선발했다. 임명 시기도 들쭉날쭉해 시범 지역이 아니었던 충남은 2023년부터 센터장을 임명한 반면, 경기도는 '연말 채용 계획'을 이유로 아직 센터장 자리가 비어 있다. 대구는 2명의 센터장을 두고 있다.

신분과 임기도 지역별로 차이가 컸다. 강원은 센터장이 지방공무원 신분으로 내부 인사발령에 따른다고 밝혀 별도의 임기를 두지 않았고, 경남은 파견 공무원으로 1년 임기였다.

반면 민간인이 맡은 경북은 출자출연기관 규정에 따라 2년, 대전·전북·제주·충남 등은 3년으로 제각각이었다. 연봉 또한 지방공무원 보수 규정, 상위기관 기준 등 적용 방식이 달라 6천만원에서 1억원까지 격차가 났다.

자격 기준 부재로 인해 지역 대학과 산업의 동반 성장을 이끌어야 할 핵심 자리에 고등교육 관련 역량이 부족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현직 센터장 17명 중 지역사회·산학협력 경력은 풍부했으나, 대학·교육 관련 주요 경력이 없는 인사가 10명으로 조사됐다.

강경숙 의원은 "라이즈 센터장은 지자체 주도 대학지원 사업의 핵심 역할인데, 교육부가 기초적인 준비도 없이 사업을 밀어붙인 결과"라며 "사업의 지속적·안정적 운영을 위해 전문가 중심의 인사를 가져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