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외교부 "30일 부산에서 미중 정상회담" 공식 발표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 20개국(G20) 정상회의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연합뉴스
2019년 6월 일본 오사카 20개국(G20) 정상회의 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왼쪽)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 연합뉴스

오는 30일 한국 부산에서 미중 정상회담이 개최된다.

중국 외교부는 29일 "중미 양측의 합의에 따라 시진핑 국가주석은 30일 부산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회담을 갖는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양측은 중미 관계와 공동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시 주석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계기 30일부터 내달 1일까지 2박 3일간 한국을 국빈 방문하며 이 기간 이재명 대통령과 첫 정상회담을 갖는다.

시 주석의 방한은 2014년 7월 이후 11년 3개월여만이다.

CNN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회담이 결과와는 상관없이 중국이 승자로 기록될 것이라고 전망헀다. 이번 회담이 세계 무대에서 중국이 미국과 대등한 강대국으로 서야 한다는 시 주석의 목표와 부합한다는 이유에서다.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복귀 후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를 퍼부을 때 주요 국가들은 미국을 달래면서 관세 완화를 시도했지만, 중국은 정면 대응에 나섰다.

보복 조치와 반격을 주고받은 양국은 최근 말레이시아에서 열린 고위급 협상을 통해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를 유예하는 대신 미국은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왕이웨이 베이징 인민대 국제관계학원장은 "미국도 이번 경험을 통해 8년 전과는 다른 중국의 역량을 깨닫게 됐다"며 "이제 미국이 더 이상 압도적 초강대국이 아니라는 사실을 트럼프 자신이 인식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시 주석이 달성하려는 목표가 '시간벌기'라는 전문가들의 분석을 소개했다.

미국의 압박을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낮추고, 미국을 따라잡을 수 있는 시간을 버는 '전략적 교착상태'를 이루려 한다는 것이다. 특히 지속적인 경제 둔화 상황에 직면한 시 주석 입장에선 단기적 경제 위협을 제거하고 국내 경제의 구조적 문제에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무엇보다도 소중하다는 분석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