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을 보면서 인생과 고통의 상관관계를 생각해본다.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되고 이 회장도 관련 비리로 옥고를 치를 때만 해도 '이재용의 삼성'은 성장에 대한 기대보다 '망하지는 않을까'하는 걱정이 더 컸다.
하지만 그로부터 8년이 지난 지금, 이 회장은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와 서울 강남에서 치맥을 즐기며 인공지능(AI) 관련 산업의 새로운 핵심인물로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 주가가 윤석열 정부 초기보다 2배 가까이 뛰어오른 건 덤이다.
이 회장은 어찌됐든 자신의 인생에서 겪을 일이 없을 것이라 생각했던 '고통'이라는 것을 극복해낸 뒤 자연스럽게 돈을 버는 운기를 타고 오르는 기회를 맞았다. 이 회장의 최근 10년간은 '새옹지마'라는 고사성어의 본 뜻을 생각하게 한다.
최근 사교육 시장과 관련된 이런저런 이야기를 듣게 됐다. 초등 의대반은 이미 구문(舊聞)이고 유명 사교육 강사들이 참여하는 TV 예능에서도 선행학습은 기정사실에 필수 코스로 취급받고 있다. 선행학습이야 할 수는 있다. 방학 때 다음 학기 공부를 더 잘하기 위해 미리 예습하는 걸 공정 경쟁을 저해하는 행위라고 해석하는 것은 과하지 않은가.
미혼인 자가 자식있는 부모의 마음을 얼마나 헤아릴 수 있겠느냐마는 부모들이 선행학습을 시키는 이유는 자녀들이 앞으로의 교육과정에서 학습의 뒤처짐으로 인한 고통을 겪지 말기를 바라는 마음일 것으로 짐작한다. 그런데, 이런 부모들이 한 가지 간과하는 게 있다. 이재용 회장의 예시처럼 아무리 모든 걸 다 가진 것 같은 사람도 어떻게든 인생의 고통은 한 번 이상 겪고 간다는 사실이다.
'가장 쓸데없는 걱정이 연예인 걱정과 이재용 걱정'이라는 우스갯소리처럼 돈과 명예를 태어날 때부터 쥐고 난 것처럼 보이는 이 회장도 나름의 고통을 겪는데 우리와 우리들의 아이가 고통을 피해갈 방법도 이유도 없다.
어쩌면, 나중에 못 배운 고통을 극복하기 위해 선행학습을 한답시고 수학학원에서 미분 문제를 풀고 있는 초등학생에게는 그 상황이 자기 인생에서 최대로 고통스런 상황일 수 있다. 부모들은 오늘도 학원에서 아이들을 데려오는 차 안에서 "앞으로의 고통을 겪지 않기 위해 지금의 고통을 참아내야 한다"고 자식들에게 훈계 내지는 위로를 하고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여기서 부모들은 또 한 가지 중요한 사실을 간과하는 것 같다. 고통은 예방으로 극복되는 게 아니라는 사실이다. 고통이 예방으로 극복되는 개념이라면 그 누구도 스스로 생을 놓는 선택을 하지는 않을 것이다. 결국 고통은 맞닥뜨렸을 때 어떻게 대처하느냐의 문제다. 대처를 잘 하면 극복되고 대처를 잘 못하면 삶이 무너진다. 고통을 견뎌내는 문제에 있어 타고나는 천재는 없기에 어차피 우리는 고통을 겪어가면서 대처법을 배워야 한다.
선행학습으로 미분을 풀고 자신이 쓰지도 않는 단어를 영어 단어로 바꿔 외워야 하는 아이들은 이 고통을 어떻게 극복하고 있을지 심히 궁금해진다. 하필 그 고통을 준 대상은 '고통을 겪지 말기를 바라는 마음'을 온전히 담아 사랑으로 자신을 보살피는 부모다. "자식 없다는 인간이 쓸데없이 뭔 걱정이냐" 하겠지만, 이 아이들 중 누군가는 나와 같이 일하게 될 것이기에 유심히 지켜볼 수밖에 없다.






























댓글 많은 뉴스
택배 멈춘 새벽, 시작도 못 한 하루…국민 분노 치솟는다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원전 재가동 없이는 AI 강국도 없다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