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 사회 '정체의 신호등'…국민 절반 "생활 여건 나아지지 않았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외로움 느끼는 국민 38%, 사회 신뢰도 54%로 첫 하락
노후 준비율은 71.5%로 최고치…"불안 속 대비 강화된 현실"

대구 중구 동성로의 모습. 매일신문 DB
대구 중구 동성로의 모습. 매일신문 DB

국민 절반 가까이는 지난 2년간 한국 사회 생활 여건이 나아지지 않았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데이터처는 11일 '2025년 사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전국 1만9천 표본가구의 만 13세 이상 가구원 3만4천여 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 14일부터 29일까지 실시됐다.

조사 결과 19세 이상 국민 47.2%가 "우리 사회 전반적 생활 여건이 2년 전과 비교해 변함이 없다"고 답했다. "나빠졌다"는 응답은 12.9%, "좋아졌다"는 40.1%였다. 결과적으로 국민 10명 중 6명(60.1%)은 사회가 제자리이거나 후퇴했다고 본 셈이다.

국가데이터처는 "보건의료 서비스, 사회보장제도, 문화·여가 등 대부분 생활 영역에서 '변화가 없다'는 응답이 높았다"고 설명했다.

사회 신뢰도는 처음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한국 사회를 '믿을 수 있다'는 응답 비율은 54.6%로, 2023년(58.1%)보다 3.5%포인트(p) 하락했다. 2019년 관련 조사가 시작된 이후 첫 감소세다. '매우 믿을 수 있다'는 응답은 4.2%, '약간 믿을 수 있다'는 50.4%에 그쳤다. 반면 '믿을 수 없다'는 응답은 45.4%로 2년 전보다 3.5%p 증가했다.

국가데이터처는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와 잇따른 대형 사고 등 사회적 불안이 신뢰 저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올해 처음 포함된 외로움 관련 항목에서는 만 13세 이상 인구의 38.2%가 평소 외로움을 느낀다고 답했다. 이 중 '자주 외롭다'는 응답은 4.7%, '가끔 외롭다'는 응답은 33.5%로 나타났다. 외롭지 않다고 답한 61.8% 중에서는 '별로 외롭지 않다'가 43.5%, '전혀 외롭지 않다'가 18.3%였다.

연령대별로는 나이가 많을수록 외로움이 더 컸다. 50대 41.7%, 65세 이상은 43.4%가 평소 외롭다고 응답했다. 또 특정 상황에서 도움받을 사람이 없고 평소 교류도 없는 비율은 5.8%였다.

직장 안정성에 대한 불안도 여전했다. 19세 이상 취업자 중 "가까운 미래에 직장을 잃거나 바꿔야 할 것 같아 불안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54.3%로, 2년 전보다 0.3%p 낮아졌으나 여전히 절반을 넘었다.

또 본인 세대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상승할 가능성을 낮게 본 비율은 57.7%로, 국민 10명 중 6명 수준이었다. 다만 2년 전보다는 1.9%p 낮았다.

한편 노후 준비를 하고 있거나 이미 준비가 돼 있다고 응답한 국민은 71.5%로, 2011년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준비 수단으로는 국민연금이 58.5%로 가장 많았고 이어 예적금(16.9%), 직역연금(8.1%), 사적연금(5.0%), 퇴직급여(4.1%), 부동산 운용(3.9%) 순이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