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3분기 실질소득 1.5% 늘었지만…실질 소비는 3개 분기째 '후퇴'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민생쿠폰 효과로 소득 늘었으나 지출 회복은 더뎌…저소득층 소득·소비 증가 두드러져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종합시장에 민생 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서울 동대문구 청량리 종합시장에 민생 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안내문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3분기 가계 소득이 민생회복소비쿠폰 등 추경 효과로 소폭 상승했지만, 물가를 감안한 실질 소비지출은 3개 분기 연속 감소했다. 소득 증가가 이전소득 중심으로 발생한 반면 근로·사업·재산 등 생산 활동 기반 소득은 감소세를 이어가면서 민간 소비 회복의 불씨가 좀처럼 살아나지 못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3분기 실질소득 1.5% 상승

국가데이터처가 27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구당 월평균 명목소득은 543만9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5% 늘었다. 소비자물가 변동을 제거한 실질소득은 1.5% 증가하며 2분기(0.0%) 정체에서 다시 플러스로 전환됐다. 이 같은 개선은 '민생쿠폰 추경' 집행에 따른 공적 이전소득 증가가 핵심 요인으로 꼽힌다.

이전소득 전체는 3분기 15.5% 증가하며 2022년 2분기 코로나19 손실보전금 지급 이후 13분기 만에 가장 큰 폭을 보였다. 특히 공적 이전소득은 작년 같은 기간보다 37.7% 뛰었다. 추석이 올해 4분기로 밀리면서 용돈 등이 포함된 사적 이전소득은 30.8% 줄었으나 이를 압도할 만큼의 증가였다. 반면 이전소득을 제외한 실질적 생산 기반 소득은 일제히 줄었다. 근로소득은 0.8% 감소하며 전달(-0.5%)보다 감소 폭이 커졌고, 사업소득 역시 1.7% 줄며 2분기(-1.9%)에 이어 두 분기째 1%대 감소를 이어갔다. 재산소득은 이자 감소 영향으로 2.7% 떨어져 13분기 만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그래픽] 실질소득·실질지출 증감률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27일 발표한 \
[그래픽] 실질소득·실질지출 증감률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가 27일 발표한 \'2025년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3분기 물가 변동의 영향을 제거한 실질 소비지출은 0.7% 감소하며 3개 분기째 줄어든 반면, 실질소득은 1.5% 증가했다. minfo@yna.co.kr X(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끝)

분배 측면에서는 하위 계층을 중심으로 소득 개선 흐름이 뚜렷했다. 소득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31만3천원으로 11.0% 증가했다. 근로소득(7.3%)과 이전소득(15.3%) 증가가 두드러졌기 때문이다. 2·3·4분위 소득 증가율은 각각 7.1%, 5.8%, 4.4%였으며, 최상위 20%인 5분위는 1천158만4천원으로 0.4% 증가에 그쳤다. 처분가능소득 기준 지니계수에 해당하는 5분위 배율은 5.07배로 작년(5.69배)보다 낮아지며 2020년 2분기 이후 5년여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다만 연간 기준 공식 분배 개선 여부는 가계금융복지조사에서 판단된다.

◆3분기 실질지출 감소

소득이 늘었음에도 소비는 오히려 뒷걸음쳤다.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4만4천원으로 1.3% 증가했지만, 물가 요인을 제거한 실질 소비지출은 0.7% 감소해 올 들어 세 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민생쿠폰 지급에도 소비가 회복되지 않은 것은 추석 연휴가 10월로 넘어가면서 3분기 식료품·여행 지출이 줄어든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품목별로 보면 식료품·비주류 음료 지출이 1.2% 감소했다. 육류(-9.0%), 채소·가공채소(-7.0%), 주스·기타 음료(-6.2%) 등에서 하락 폭이 컸다. 오락·문화 지출은 6.1% 줄었다. 단체 및 국외 여행비가 14.1% 감소했고 서적(-10.2%)과 운동·오락 서비스(-3.6%)도 부진했다. 작년 3분기 오락·문화 지출이 역대 최고 수준이었다는 기저효과까지 겹쳤다는 설명이다.

교육 지출 역시 학원·보습교육(-4.5%), 정규교육(-7.6%) 감소로 6.3% 줄었다. 학령인구 감소 추세에 더해 최근 2년간 비정상적으로 높았던 지출이 다시 정상화되는 과정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서지현 가계수지동향과장은 "오락·문화 지출이 작년 3분기에 역대 최대 수준이었던 데 따른 기저효과도 있다"고 말했다.

반대로 음식·숙박 지출은 4.1% 늘었다. 외식 등 식사비가 민생쿠폰 효과로 4.6% 증가한 반면 숙박비는 4.1% 줄었다. 전자담배 수요 증가로 담배 지출이 8.8% 늘며 주류·담배 전체 지출도 0.6% 증가했다. 테슬라 등 신차 출시 영향으로 자동차 구입 지출이 19.5% 늘어 교통·운송 지출도 4.4% 증가했다.

소득 분위별 소비 흐름은 상·하위 간 온도차가 컸다. 1분위 소비지출은 6.9% 증가했고 2분위는 3.9% 늘었다. 3분위는 변동이 없었고 4분위는 2.4% 증가한 반면, 5분위는 단체·해외여행 지출 감소로 1.4% 줄었다.

3분기 비소비지출은 105만8천원으로 0.9% 감소했다. 가구간이전지출(-19.1%), 연금 기여금(-0.7%) 등이 줄어든 영향이다. 처분가능소득은 4.6% 증가한 438만1천원이며, 소비 이후 남는 흑자액은 143만7천원으로 12.2% 늘어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민생쿠폰으로 소득은 늘었지만 소비 증가가 이를 따라가지 못한 결과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