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K-뷰티의 눈부신 성공…미국 시장에서 20억 달러 돌파 '틱톡 효과' 돋보여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캐롤라인 레빗 미 백악관 대변인(왼쪽)이 쇼핑한 화장품. 연합뉴스, 인스타그램
캐롤라인 레빗 미 백악관 대변인(왼쪽)이 쇼핑한 화장품. 연합뉴스, 인스타그램

한국산 화장품이 미국 시장에서 눈부신 성과를 거두고 있다. CNBC와 닐슨IQ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한국산 화장품의 미국 내 매출은 약 2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년 대비 37% 증가한 수치로, 미국 전체 화장품 시장의 성장률이 한 자릿수에 머물 것으로 보이는 상황에서 주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K-뷰티의 성장은 주로 젊은층이 자주 사용하는 틱톡과 같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한 마케팅 효과에 기인하고 있다. 미국의 주요 유통업체들은 이러한 입소문 효과를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화장품 전문 매장 울타의 경우 올해 1분기 한국산 화장품 매출이 38%나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와 같은 성장을 바탕으로 세포라 등 다른 대형 소매업체들도 K-뷰티 전용 공간을 마련하며 적극적인 판매 전략을 취하고 있다. 뉴욕의 타임스퀘어에 위치한 세포라는 특히 독점 공급 계약을 통해 K-뷰티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틱톡을 통한 입소문 마케팅의 힘은 특히 MZ세대에게 강력하게 작용하고 있다. 퍼스널케어 인사이트에 따르면, 미국 내 K-뷰티 소비자의 약 75%가 바로 이 세대에 속하며, 이들은 주로 틱톡을 통해 제품 정보를 얻고 있다. 스페이트의 발표에 따르면, K-뷰티와 관련된 게시물은 주간 조회수가 2억5000만 건을 넘어서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세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된다. 미국의 주요 유통업체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한 업계 전문가는 "K-뷰티가 틱톡과 같은 단일 플랫폼에 지나치게 의존할 경우, 추천 알고리즘의 변화에 따라 그 노출이 급격히 변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이는 플랫폼의 추천 알고리즘 조정이 K-뷰티의 성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뜻이다.

이에 따라 K-뷰티는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다양한 마케팅 채널을 확대하고, 틱톡 외의 다른 소셜 플랫폼으로까지 영향력을 넓혀 나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0700
AI 뉴스브리핑
정치 경제 사회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한덕수 전 국무총리에 대한 징역 15년 구형에 대해 홍준표 전 대구시장을 비판하며, 과거 대선 경선에서 한덕수와의 단...
대구시는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의 현대화 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고 발표하며, 2032년까지 이전 완료를 목표로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경북대가 최대 1천억원 규모의 국가연구소 사업에서 최종 탈락한 가운데, 최종 선정된 4개 대학 중 3곳이 서울 상위권으로 지역 대학에 대한 배제...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