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무병장수 양생운동

▨팔단금 체조순서

누구나 쉽게 할 수 있는 맨손체조로 질병예방은 물론 건강증진을 꾀할 수 있다면 이 어려운 IMF시대를 견뎌낼 힘을 얻지 않을까.

말을 탄 듯한 기마자세나 활시위를 당기는 자세를 되풀이하는 것만으로 심폐기능이 강화되고 스트레스가 풀린다면 구태여 돈을 주고 헬스장이나 수영장을 찾지 않아도 된다.

양생운동법이 바로 그것.

'생명을 기른다'는 뜻의 양생(養生)은 자연의 법칙에 순응하고 질병을 예방함으로써 무병장수를누리는데 목적이 있다.

양생법은 중국 도가사상에서 기원했지만 신라 화랑들의 심신수련에서나 퇴계선생의 건강법인 활인심방등이 모두 이에 뿌리를 두고 있다. 허준선생의 동의보감에서 처음 의학과 양생을 접목, 백성의 건강을 지키는 지침서 역할을 해 왔다.

양생법은 현대의학용어로 예방의학에 해당한다.

양생법에는 도인(체조), 토납·복기(호흡법), 산곡(식이법)등이 있다. 이중 도인법은 오늘날의 체조에 해당하는 것으로 특히 질병예방과 병후 보조요법으로 효과가 있다.

도인법중 가정에서도 손쉽게 할 수 있는 팔단금(八段錦)을 한티한방병원 김진태원장, 한의학발전연구소 이재수소장, 동덕한의원 홍문엽원장의 도움말로 알아본다.

중국(송대)에서 시작된 팔단금은 각 내장의 기능과 관계있는 8가지동작을 가려내 하나의 체조법으로 묶어낸 것.

조선 종합의서인 '의방유취'에 처음 공법이 수록돼 있으며 배우기 쉬우면서도 의료효과가 뛰어나다. 특히 초보자, 노인, 병약자들이 운공하면 좋다고 전해진다.

운공시 주의할 점은 모든 동작을 둥글고(圓) 부드럽고(柔) 느리게(緩)해야 한다. 동작 하나하나에호흡도 함께 들이쉬고 내쉬어야 한다.

①양수반천리삼초(兩手攀天理三焦: 양손을 깍지끼고 팔위로 올렸다 내리기) 목,어깨,가슴 근육강화.위장,췌장,간장,신장등 전체 내장기능강화및 심폐기능 활성화.

②좌우개궁사사조(左右開弓似射周鳥:서서 양팔 교대로 활잡아 당기기) 신장·폐기능 강화. 여성의경우 특히 가슴을 키워준다.

③조리비위수단거수(調理脾胃須單擧手: 양다리를 벌리고서 팔을 교대로 위아래펴기) 비위·간담계를 다스림. 소화기촉진. 어깨근육을 풀고 정신을 안정시킴.

④오로칠상왕후초(五勞七傷往後日焦:양다리를 벌리고 좌우로 몸 비틀기) 오장육부의 피로 해소. 척추교정. 신경성화병과 스트레스를 없앤다.

⑤요두파미거심화(搖頭擺尾去心火: 다리 벌려 무릎 굽히고 좌우로 몸 눕히기) 자율신경조절,스트레스해소, 초조하고 불안한 마음을 제거한다.

⑥양수격족고신요(兩手擊足固腎腰: 양다리 모아 상체 앞으로 굽히기) 신체 유연성. 요통예방. 신장방광기능 강화.

⑦찬권노목증기력(瓚券怒目增氣力: 양발 넓혀 다리 구부리고 양팔 교대로 뻗기) 근육단련. 근력증진. 여성 가슴 풍만. 간기능 강화. 눈을 부릎뜨고 앞을 응시함으로써 눈기능도 보호함.⑧긍후칠전백병소(肯後七顚百病消: 발 모아 발끝으로 서 몸 뒤로 젖히기)전신이완으로 자율신경조절. 허약한 신체 체력회복. 내장 혈액순환 촉진·질병예방.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