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증기탕 다시 문 여나

정부가 지난 해 8월 관광호텔의 '증기탕'영업에 대해 사실상 영업정지조치를 내린지 불과 1년여만에 영업재개를 허용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정책혼선을 빚고 있으며 퇴폐조장논란까지 야기시키고 있다.

특히 이와 관련해 전국 안마사협회는 증기탕 영업 등 맹인안마사 이외의 안마서비스가 퇴폐윤락만 확산시킨다며 영업근절책 마련을 요구하는 대규모의 전국순회집회를 열 예정이어서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문화관광부는 지난달 6일 증기탕의 이성입욕보조자 채용금지를 골자로 하는 공중위생관리법 을 개정, 지난 해 8월 사실상 영업중단조치를 당한 관광호텔의 증기탕영업을 제한적인 범위내에서 허용하기로 하고 보건복지부와 협의에 들어갔다.

보건복지부는 퇴폐를 조장한다는 사회적 여론에 따라 지난 해 관련법을 개정, 사실상 증기탕의 영업금지조치를 내린 바 있다.

문화관광부는 2002년 월드컵 등 외국인 관광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커 관광객 유인책 마련을 위해서는 '증기탕 영업'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문화관광부 한 관계자는 "관광객 유치를 위해서는 증기탕의 장점이 많다"며 "이용객을 외국인에 한정해 영업을 하는 등 퇴폐시비를 없애는 것이 현재의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전국 안마사협회 등 관련 단체는 물론, 일부 관광호텔 종사자들도 정부의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외국관광객 유치보다는 내국인을 대상으로 한 '퇴폐영업'만 확산시킬 가능성이 크다는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대한안마사협회 대구지부 김주식(59)지부장은 "피부.스포츠맛사지 등을 명목으로 한 무자격 출장안마사가 불법윤락에 나서면서 '안마업'이 윤락의 대명사로 자리잡고 있다"며 "이런 와중에 증기탕까지 가세하면 정부가 퇴폐영업을 조장한다는 비난을 면키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崔敬喆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