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月城原電서는 被爆사고까지

경북 월성 원자력발전소 3호기에서 4일, 중수(重水)가 유출돼 22명이 방사능에 피폭(被爆)됐다는 사고발생 소식은 이 지역이 어느곳보다 많은 원전을 보유하고 있어 심각한 우려를 갖게한다. 더욱이 일본 도카이무라(東海村)에서 방사능 누출사고가 난 것이 바로 며칠전이기 때문에 피폭량의 많고 적음을 따지기 이전에 불안부터 앞서는 것이다. 우리는 일본의 사고에 접하자마자 국내원전의 총체적인 안전점검을 주장한 바 있다.

다른 모든 사고도 그렇지만 이번 월성3호기 역시 안전불감증 때문이란 사실을 직시하면 당국의 무관심과 작업자들의 안전의식은 실로 우려할 수준이다. 과학기술부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전문가들이 피폭량을 비롯한 정확한 사고원인을 조사중이라고 밝혔지만 일단 전문가들은 작업자들이 안전규정을 충분히 지키지 않은데서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주목하고 있다.

도대체 원전근무자들에게 적용되는 엄격한 기준의 안전수칙이 있는지부터 묻고 싶다. 있다면 당국의 감독기능은 어디로 실종된 것인가. 자료에 따르면 올해들어서만도 원전의 대소사고·고장건수가 모두 15회에 달해 지난해의 2배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이 사고의 절반이상은 또 작업자의 부주의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음에도 번번이 같은 전철을 밟고 있다.

더욱 만 하루를 거의 채우고 난뒤 일반에 알린 것은 한마디로 사건의 축소의도를 의심하기에 족하다. 한국전력측은 관련규정을 지켰다고 주장하지만 사고가 근본적으로 원자로 내에서 정비작업 도중에 일어났다는 점과 또 누출사실을 알고도 작업을 계속했다는 점에서 안전불감증이 어느정도 심각한 지경에 와있는지를 알 수 있게 한다.

사고의 경위 역시 석연치 않은 구석이 있다. 한전측은 감속재를 순화시키는 펌프교환작업 도중 밀봉축이 손상돼 이 틈으로 중수가 새나왔다고 주장하지만 과기부는 관리소홀쪽에 중점을 두고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월성원전3호기는 지난해 7월부터 상업운전을 시작한 신종모델이라 충격이 더욱 큰 것이다. 사고원전은 캐나다산 중수형 원자로이기 때문에 천연우라늄을 그대로 원료로 사용하고 감속재로 중수를 사용해 한국형 모델로 지정된 경수로보다는 여러가지로 주의를 더 기울일 필요가 있다.

다행이랄 수 있는 건 이번 피폭량이 인체에 미칠 영향이 심각한 수준이 아니란 점 하나뿐이다. 차제에 우리는 원전주변의 주민들이 바로 원전으로 몰려가 사고에 대비한 대피훈련체제가 갖춰지지 않은 사실을 항의한 데에 주목한다. 주민들의 안전문제를 최우선가치에 둔 완벽한 방재시스템 구축을 거듭 촉구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