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위기의 직접적 원인이 된 단기외채 비중이 높아지고 있어 경제회복과 함께 외채관리가 느슨해지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7일 재정경제부가 발표한 총외채현황에 따르면 지난 8월말 현재 총대외지불부담은 1천426억달러로 이중 단기외채 비중이 25.5%로 전달보다 1%포인트 높아졌다는 것장기외채는 1천64억달러로 전달보다 22억달러가 줄어든 반면 단기외채는 362억달러로 12억달러가 증가, 전체적으로 전달보다 10억달러가 감소했다.
단기외채 비중은 97년말 40.0%에서 98년말 20.7%로 떨어진 뒤 지난 3월 21.9%, 4월 21.2%, 5월 22.0%, 6월 22.7% 등으로 계속 상승하고 있다.
재경부 관계자는 경기회복에 따른 기업들의 수입신용 증가에다 외채 조기상환을 위한 금융기관 차입이 늘면서 단기외채가 늘어났으나 6월말 현재 655억달러인 가용외환보유고나 연말 경상수지 흑자기조 등에 비춰 심각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분석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외채건전도는 안정, 경계, 위험 등 3단계중 안정과 경계의 중간수준에 머물고 있어 안정단계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외채를 더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8월말 현재 총대외채권은 1천415억달러로 전달보다 4억달러가 증가했고 총외채에서 총대외채권을 뺀 순외채는 전달보다 14억달러 줄어든 11억달러로 낮아졌다재경부는 우리나라가 9월말 명목상 순채권국으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대외채권의 7~8%가 인도네시아, 러시아 등의 불량채권이어서 올연말에도 실제 순채권국으로 전환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鄭敬勳기자
댓글 많은 뉴스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