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 원전 방사능 피폭사고를 계기로 원전 설치 반대 여론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임시저장되고 있는 핵폐기물 저장량이 수용량의 절반을 넘어서고 있는데도 정부는 지역여론에 밀려 핵폐기장 처리시설 설치 후보지 조차 선정하지 못하는 등 핵폐기물 정책이 표류하고 있다. 한전에 따르면 올 7월말 현재 울진 등 국내 4개 지역 원전에서 발생하는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방사선 구역의 작업에 쓰였던 작업복, 폐지, 공구 등의 고체물)의 임시 저장량은 5만3천572드럼. 저장능력 9만9천900드럼의 절반을 이미 훨씬 넘어선 수치다.
월성원자력본부는 현재 사용후 핵폐기물을 저장하는 수영장형 수조 및 사일로형 건식 저장 용기를 비롯, 고체 방사물인 장갑, 덮신, 작업복 등 중.저준위 저장용량 9천드럼을 임시 보관중이다.
이중 '사용후 핵연료' 보관용인 수영장형 수조는 1, 2, 3호기중 83년부터 가동된 1호기 경우 이미 지난 9월말 현재 저장용량 4만3천776다발의 89%인 3만9천381다발을 저장하면서 포화상태 직전에 있다.
또 수조에서 5~6년 보관후 옮겨와 보관하는 사일로형 건식 저장용기도 저장용량의 53.5%인 4만500다발이 들어차 있는데다 중저준위 핵폐기물도 현재 3천600여드럼이 차 있다. 게다가 이달부터 4호기가 본격 가동돼 폐기물 영구저장시설 설치가 더욱 시급하게 됐다. 5만200드럼 저장능력을 갖춘 고리원전도 2만8천746드럼 저장으로 57.3%, 1만7천400드럼의 울진은 9천321드럼의 저장으로 53.6%를 나타내는 등 2008년이면 포화상태에 이를 것이 예상된다.
사용후 핵연료도 이미 저장량이 40%를 넘어서 2006∼2008년이면 포화상태가 될 것으로 보여 정부나 한전으로선 후보지 선정이 시급한 형편이다. 그렇지만 한 동안 잠잠했던 핵폐기물 처분장 후보지 선정 문제가 이번 원전사고등을 계기로 다시 수면 위로 부상, 울진 등 과거에 거론됐던 지역주민들이 술렁이고 있다.
지난 92년 홍역을 앓았던 포항 청하주민들은 결사반대 입장을 보이며 이달 말 쯤 대책위원회를 소집, 제반문제를 논의할 계획이다.
울진서도 원전반대 투쟁위원회 등 사회단체들을 중심으로 만약의 사태에 대비, 조직적인 대응 태세를 준비하고 있어 핵폐기물 처분장 선정 문제를 놓고 또 한차례 진통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한전이 지난 3일 국회에 제출한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 입지를 위한 주변지역 지원에 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2, 3차 산업종사자 비율 등 경제적 여건과 인구 및 도심과의 거리 등 사회적 여건을 고려한 '지역 수용성 조사'에서 포항, 부산 기장, 경주, 울진등을 적지로 거론했다. 그러나 이미 해당 지역 주민들의 극심한 반발을 경험한데다 이번 사고까지 터져 정부의 후보지 선정에는 또다른 어려움이 클 전망이다.
朴埈賢. 黃利珠기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