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뉴스초점> 의혹만 남긴 민주당 대선자금 공개

민주당이 23일 대선 자금 내역을 발표했으나 수입금 처리 및 자금 유입에 대한 문제점이 제기되는 등 의혹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짜맞추기식 수입금 처리

공개된 금액이 선관위 신고 금액과 별다른 것이 없어 짜깁기식 꿰맞추기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기업 후원금 모금액의 경우 민주당 이상수 사무총장은 98억원이라고 밝혔지만 정대철 대표는 "돼지저금통을 빼고 기업 등으로부터 200억원을 걷었다"고 말한 적이 있고, 지난 3월 이 총장은 "100대 기업으로부터 120억원을 걷었다"고 밝혔다. 매번 말이 바뀌고 있는 것은 대선 당시 선대위 관계자나 노무현 대통령 측근을 통해 들어온 '비공식 후원금'이 장부에서 빠졌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80억원→70억원→50억원 등으로 오락가락해 의혹을 부채질한 희망돼지 저금통 모금액도 최종적으로 4억원으로 정리됐다. 이는 그동안 당에서 밝힌 금액은 물론 대선백서에 기재된 8억여원의 금액과도 맞지 않다. 민주당은 이 부분에 대해 "저금통을 거둬들인 지역 국민참여경선본부에서 자체 경비로 지출하거나 다른 후원회 계좌로 송금한 탓"이라고 해명하고 있지만 성금을 투명하고 정확하게 관리하지 못했다는 비난은 피하기 어렵게 됐다. ▲불가능한 후원자 확인

민주당은 현행 정치자금법 규정을 이유로 후원자 이름을 공개하지 않은데다, 100만원 이상 고액 후원금의 경우 금융기관을 통한 증빙 서류와 영수증 등을 첨부하지 않았다. 이에따라 후원자 및 후원금 세부내역의 검증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민주당은 후원금 내역에 대해 "개인 및 법인 후원금과 특별당비.후원회 후원금으로 이뤄진 후원금은 사용 후 잔금 145억여원이 당에 입금된 상태"라며 "법인 및 개인 후원금 중 법정 기부 한도인 2억원 16건, 1억~2억원 미만은 23건 등 1억원 이상의 고액 후원이 39건에 56억원으로 법적으로 아무런 문제될 것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기업들로부터 연간 법인 후원금 한도인 2억원 이상의 돈을 거둔 뒤 위법 논란을 피하기 위해 직원 등 개인 명의로 또다른 영수증을 준 사실이 알려져 정치자금법 위반 시비도 일 것으로 전망된다.

▲조직선거 의혹

인건비와 유세단 유지 비용에 상당한 부분이 사용된 것으로 드러나 당초 민주당이 주장한 인터넷을 활용한 '저비용.고효율' 선거를 했는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인터넷 선거 비용에 투입된 자금은 총 지출의 0.6%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선거사무원 수당지급에 12월4일 하루에만 23억7천만원이 지급되는 등 수천만원 단위로 지속적으로 지출됐으며 각종 지원유세단(희망어머니 유세단, 돼지꿈 유세단 등) 활동비로도 매일 수백만원씩 지출된 것으로 밝혀졌다. 야근 당직자 밥값으로 하루동안 1억여원이 빠져나가기도 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한꺼번에 정산하다 보니 수천만원씩 지출된 것"이라고 해명했지만 선거운동원 어깨띠 비용 3천5백만원을 역추적해 보면 선거운동원도 1만명(어깨띠 하나당 3천5백원으로 계산)에 가까운 계산이 나와 조직선거 운동 논란은 쉽게 사그러들지 않을 전망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