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섬유산업 정책의 핵심인 '밀라노 프로젝트'를 두고 말이 많다.
부산의 신발산업처럼 밀라노 프로젝트도 사실상 헛돈만 쓴 실패한 정책이라는 따가운 비판이 쏟아지고 있지만 지역의 전통산업인 만큼 경제논리만으로 성패(成敗)를 섣불리 판단할 수는 없는 입장이다.
이런 와중에 염색공단 일대를 '염색 특구'로 지정, 섬유산업 부흥의 계기로 삼아야한다는 주장은 신선한 충격이다.
최근 염색공단은 "열병합발전소, 염색기술연구소 등 세계 최고의 주변 인프라를 자랑하고 있지만 낡은 공장과 낙후 설비가 공단 경쟁력을 떨어뜨리고 있다"며 "금융.세제 지원을 통한 공단 현대화를 위해 염색공단을 '염색특구'로 지정해달라"고 대구시에 건의했다.
직물과 염색은 지역섬유산업의 두 바퀴다.
상호 보완성을 감안할 때 염색산업의 고부가화는 시급한 과제인데도 이제야 특구 지정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으니 오히려 때늦은 감이 없지 않다.
대구.경북지역에는 전국 염색업체의 43%가 집중돼 있으며 비산염색단지에만 117개의 공장이 입주, 염색 단일업종으로서는 세계최대 규모의 집산지다.
그러나 외형에 비해 질적인 수준은 형편없다.
이런 수준으로 대구를 아시아의 밀라노로 만들겠다고 욕심을 부리고있으니 우스꽝스런 일이다.
이제 국가균형발전은 물론 지역혁신차원에서도 대구시는 '염색특구'의 당위성 논리를 서둘러 개발해야한다.
대전시도 최근 연구기능 일변도였던 대덕연구단지를 생산.산업기능과 결합함으로써 오는 11월 '대덕 R&D 특구'로 지정돼 재도약에 성공했다.
특히 최근 산업자원부가 디지털날염(DTP) 산업 활성화 대책을 발표한 이후 DTP 인프라가 풍부한 대구.경북 섬유가 이 사업의 핵심 주체로 떠오르고 있어 시기적으로도 절묘한 시점이다.
전국의 지자체들이 내놓은 지역특구를 보면 '그게 그거다'식으로 대체로 특색이 없다.
이런 점에서 염색특구는 분명 경쟁력을 가질 것이다.
게다가 염색산업은 '집중과 선택'이라는 중앙의 논리에도 부합한다.
염색공단은 이제 또 하나의 지역 산업 클러스터로 육성돼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