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춘추-집단사고

조직의 운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결정을 함에 있어 책임 있는 의사결정 집단이 오만과 편견에 빠져 크게 잘못된 결정을 함으로써 조직을 위기로 몰아넣는 경향을 집단 사고(group think)라고 한다.

집단사고현상은 미국의 재니스란 학자가 집단의 행동을 연구하는 중에 발견하였다.

그는 집단사고의 사례로서 베트남 폭격과 케네디 대통령의 피그만 침공을 들고 있다.

집단사고의 불행한 결과는 히틀러의 유태인 학살, 일본의 동북아 침략은 물론 최근 부시 미 대통령 집단의 이라크 침공 결정에서도 발견된다.

그러면 집단사고의 증세는 어떠한가. 집단사고는 집단의 운명을 좌우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독선에 빠진 나머지 반대자를 부도덕한 존재로 규정하고, 자신들의 노선을 정당화하는 데만 골몰하며, 반대파의 공격으로 자기 집단이 곧 위험에 처할 것이라는 위기의식을 조장함으로써 집단 구성원으로 하여금 집행부의 노선에 동조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징후를 말한다.

이 경우 집단의 리더는 집단의 노선에 거부하는 자에게 만장일치가 되도록 압력을 가하며 다른 사람들도 리더에게 동조할 것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이렇게 되면 그 누구도 집단의 결정에 어긋나는 정보나 반대의견을 제시하지 못하게 되며, 결국 그 집단의 결정은 엄청난 사회적 재앙을 초래하게 된다.

문화적인 측면에서 볼 때 한국은 상하서열에 따른 명령복종관계를 중요시하는 계층적 집단주의 문화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거의 모든 사회 분야에서 집단 사고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대구경북 지역은 가족, 씨족, 종친회는 물론, 지방의 정치인, 기업인, 법조계, 언론계, 학계 할 것 없이 계층적 집단주의에 익숙해져 있어 조직 내 지배 집단의 독선이 아무런 검증 없이 그대로 통용될 가능성이 매우 농후한 지역이다.

그러나 지금 우리가 경계해야 할 가장 심각한 사항은 중앙 정치권의 집단사고 성향이다.

특히 여당과 이념정당의 경우 권력투쟁과 노선구축에 몰두하는 과정에서 집단 사고에 빠질 위험이 매우 크다.

집단 사고를 막는 길은 소수의 의견이라도 의미있는 비판 의견이 있으면 이를 겸허하게 수용하는 데 있다.

17대 국회부터는 여야를 막론하고 조직내외의 비판적 사고를 겸허하게 수용하여 국민을 위한 큰 정치로 나아갔으면 한다.

전영평(대구대교수.행정학)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