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장편영화 한편을 찍으려면 얼마 정도의 돈이 필요할까? 영화진흥위원회의 최근 조사결과에 따르면 2002년도 한국영화 평균제작비는 33억원쯤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98년의 15억 원과 비교하면 4년 세배로 껑충 뛴 셈.
제작비가 이렇게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원인은 뭘까. 대부분의 영화제작자들은 첫 번째 요인으로 마케팅비의 상승을 꼽았다.
조사결과에도 나타나듯 1998년 평균제작비(15억)의 20%(3억)에 불과했던 마케팅비가 2002년에는 35%(11억5천만)까지 급상승했다.
두 번째 요인은 배우 몸값. 요즘 웬만한 배우의 몸값은 수억원을 훌쩍 넘는다.
그러면 33억 원을 들여 만든 영화로 손익분기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관객들이 극장을 찾아야 할까. 기타 비용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영화제작자들의 대답은 대략 120만명 정도다.
정욱진기자 pencho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4대강 재자연화 외친 李 정부…낙동강 보 개방·철거 '빗장' 연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나경원은 언니가 없는데…최혁진 "羅언니가 김충식에 내연녀 소개"
냉부해 논란 탓?…李 대통령 지지율 52.2%로 또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