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장편영화 한편을 찍으려면 얼마 정도의 돈이 필요할까? 영화진흥위원회의 최근 조사결과에 따르면 2002년도 한국영화 평균제작비는 33억원쯤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998년의 15억 원과 비교하면 4년 세배로 껑충 뛴 셈.
제작비가 이렇게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 원인은 뭘까. 대부분의 영화제작자들은 첫 번째 요인으로 마케팅비의 상승을 꼽았다.
조사결과에도 나타나듯 1998년 평균제작비(15억)의 20%(3억)에 불과했던 마케팅비가 2002년에는 35%(11억5천만)까지 급상승했다.
두 번째 요인은 배우 몸값. 요즘 웬만한 배우의 몸값은 수억원을 훌쩍 넘는다.
그러면 33억 원을 들여 만든 영화로 손익분기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얼마나 많은 관객들이 극장을 찾아야 할까. 기타 비용에 따라 다를 수 있겠지만 영화제작자들의 대답은 대략 120만명 정도다.
정욱진기자 pencho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