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을 통한 패러디가 급속도로 발전, 변화해오는 과정에서 언론들의 보도 태도는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인터넷과 기존 매체를 오가는 독자의 입장에선 눈여겨 봐야 할 대목이다.
'딴지일보'가 떠오르던 시절엔 단순한 흥밋거리 정도로 치부됐으나 대통령 선거와 대선자금 수사 등 정치 문제에 본격 개입하면서 경계의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이때까지만 해도 저급함이나 조악함 등에 초점이 맞춰졌다.
그러나 탄핵 정국과 총선을 전후해 패러디가 참여 민주주의를 이끈 새로운 기재로 등장하고 경찰, 선관위 등이 나서자 내부적으로도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한 채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에서는 표현의 자유의 한계와 법질서 준수라는 논란을 일으키면서도 한편에서는 '패러디 공화국'에 흥미를 쏟는 이중적 잣대를 드러낸 것.
이는 보수언론들 역시 정치적 이해관계에서 자유롭지 못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새롭게 부각하는 인터넷 매체의 위협에 대한 보호 본능도 작용하고 있다는 것이 언론 전문가들의 견해다.
이런 경향은 최근 야당 대표의 패러디가 청와대 홈페이지에 게시되면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더없이 좋은 공격거리가 나타난 것이다. 언론들은 정치적 공격은 물론 패러디 자체의 폐해에까지 목소리를 높였다. 불과 얼마 전까지 보이던 여유는 사라지고 저질, 인신공격, 명예훼손 등의 용어를 붙이며 공격을 퍼부었다.
이에 대해 많은 네티즌들과 학자들은 정치권과 보수언론의 이중성을 질타하고 있다. 홈페이지 관리자의 실수 정도로 치부하면 될 것을 패러디 자체에 대한 비난으로 확장시키는 것은 극도의 이기주의이자 패러디에 대한 근원적인 몰이해라고 비판한다.
실제로 그동안 인터넷에 떠다니던 정치 패러디 가운데는 최근의 것들보다 더 저급하고, 인신공격적이며, 논란이 될 만한 것들이 엄청나게 많았다. 또한 야당 홈페이지에 대통령 관련 패러디도 버젓이 올라와 있었다.
패러디는 앞으로 더욱 인기를 끌면서 영향력을 확대해나갈 것이 분명하다. 일반인들이 정보의 생산자가 되고 편집.제작자가 되는 구조 속에서 인위적인 규제나 일방적인 비판이 얼마나 먹혀들지는 쉽사리 짐작할 수 있다. 이런 현실을 뻔히 알고 있는 언론들이 어떤 태도를 보일지, 어떻게 공방을 주고받을지 지켜보는 것도 일반인들에겐 또다른 흥미가 아닐 수 없다.
김재경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