歲時風俗은 民間信仰을 비롯하여 飮食.服飾.놀이.藝術.農耕生活 등에 이르기까지 個別的인 事實들이 複合된 綜合性을 띤 文化現狀이다. 歲時風俗은 1年을 週期로 해마다 行해지는 것이 普遍的이다. 여름철 歲時風俗으로는 蔘鷄湯 등의 補陽食을 먹으며 더위를 이겨내는 三伏을 꼽을 수 있다.
三伏은 陰曆 6月에서 7月 사이에 들어 있는 俗節이다. 一年 中에서 더위가 가장 甚한 時期이기도 하여 三伏더위라는 말이 생겨났는데, 三伏은 陰曆의 槪念이 아닌 陽曆의 槪念을 適用한 것으로 初伏은 夏至로부터 세 번째 돌아오는 庚日이고, 네 번째 庚日은 中伏이며, 立秋로부터 첫 번째 庚日이 末伏이다.
(※여기에서 庚日이라 함은 六十甲子 중 庚申, 庚戌 등과 같이 庚으로 始作하는 날을 意味한다.)
三伏에는 飮食과 술을 마련해 溪谷이나 山을 찾아 더위를 잊고 하루를 즐기는 餘裕를 지녔다. 특히 以熱治熱이라는 말처럼 땀을 많이 흘리는 季節에 元氣를 回復하는 飮食을 마련해서 더위를 이겨낸 祖上들의 智慧를 엿 볼 수 있다.
三伏은 原來 中國의 俗節로 秦.漢 이래 매우 盛行한 듯하다. 에 이르기를 '秦德公 2年에 처음으로 三伏 祭祀를 지냈는데, 성 四大門 안에서는 개를 잡아 蟲災를 防止했다'는 內容이 傳한다.
伏날과 關聯 해 '伏날에 시내나 江에서 沐浴을 하면 몸이 여윈다'는 말이 있다. 이러한 迷信 때문에 伏날에는 아무리 더워도 沐浴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初伏에 沐浴을 하였다면 中伏과 末伏 날에도 沐浴을 해야 한다'는 말도 있는데, 이 境遇는 복날마다 沐浴을 해야만 몸이 여위지 않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伏날 즐겨먹는 飮食으로는 蔘鷄湯과 팥粥, 수박, 狗湯을 꼽을 수 있다. 蔘鷄湯은 더위를 물리치는 飮食으로 元氣 回復의 次元에서 복날 대부분의 家庭에서 즐겨 먹는 飮食이다. 普通 햇병아리를 잡아 人蔘과 대추, 찹쌀을 넣고 삶아 먹는데, 더위를 이겨낸다고 한다.
팥粥은 붉은 빛이어서 무더운 伏中에 惡鬼를 쫓는 意味로 먹었다. 수박은 疲勞回復, 解熱, 解毒作用에 效果가 있으며 利尿效果가 커서 腎臟病에도 아주 좋다. 神經을 安靜시켜 주고 渴症을 풀어 주어 더위를 금세 가시게 하는 데 最高의 과일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따가운 햇볕을 받아 속이 메스껍거나 嘔吐 症勢를 일으킬 때 수박을 먹으면 그 效力이 크다.
狗湯은 庶民들이 복날 즐겨 먹었던 飮食이다. 伏자가 人변에 犬을 쓴 것에서 알 수 있듯이 伏날 개를 삶아 먹는 것은 더위를 잊는 것뿐만 아니라 補身과 厄을 물리치는 일까지 結付되어 있다. 兩班들은 육개장으로 더위를 다스렸고, 一般 庶民들은 狗湯으로 더위를 다스렸다고 한다.
자료제공:장원교육 한자연구팀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