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속철 도심통과 설명회

경부고속철도의 대구 도심 통과 방안으로 기존의 '지하화'외 '철로 주변의 정비사업을 전제로 한 지상화'도 유력한 방안으로 떠올랐지만 '지상화' 방안에 새로운 걸림돌이 나타났다.

34㎞의 지상화 구간 전부에 완충 녹지와 측면 도로를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4일 오후 대구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경부고속철도 대구도심 통과 방안 설명회에서는 새롭게 제시된 '철로주변 정비사업을 전제로 한 지상화 방안'에 대해 관심이 집중됐다.

고속철 지상.지하화 논쟁이 10여년 동안이나 지루하게 계속됐지만 철로 주변 정비사업이 쟁점으로 떠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기 때문.

이날 설명회에 참석한 대구시의회 의원들과 관련 전문가들은 철로주변 정비사업에 소요되는 예산과 완충녹지, 측면도로의 연장 가능성에 대해 의구심을 보였다.

설명에 나선 한국철도시설공단의 김병호 기술차장은 "고속철을 지상화하면 지하화할 때의 1조8천473억원보다 7천197억원의 예산이 절감된다"며 "이 차액으로 철로주변 주민들에 대한 토지 보상은 물론 녹지와 도로조성까지 충분히 가능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공단 측은 이렇게 하더라도 34㎞에 이르는 대구 도심 통과부분 전체에 완충녹지와 측면도로를 설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했다.

김 차장은 "기술적으로나 비용 측면에서 일부 연결이 불가능한 부분이 있다"며 "신천교 인근의 신암주공아파트와 송라아파트 등은 고층 아파트인 탓에 사실상 보상매입이 불가능하며 신암지하차로는 편입가능한 부지가 없어 지하차로를 복개하고 측면도로나 녹지 중 하나를 취사선택하는 방법밖에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일부 시의원들은 "군데군데 끊어진 도로는 사실상 소용이 없지 않냐"며 "완충 녹지 또한 전체구간이 이어지지 않으면 소음흡수 기능이 사실상 떨어진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참석자들은 고속철을 지상화할때 공사기간 7년 동안 발생할 대구 도심의 교통혼잡비용, 지하화할 경우의 안전성과 소음문제, 방재설비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였다.

한편, 한국철도시설공단은 일부에서 제기된 '지상화 유도론'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며 "현재까지도 공단의 공식적인 입장은 대구시가 제안한 '직선 지하화'방안"이라며 "현재 진행되는 논란은 대구시민들의 잇따른 청원에 따라 공단 측에서 재차 설명에 나선 것일 뿐"이라고 원론적인 입장을 강조했다.

한윤조기자 cgdream@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