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당국이 5일 전격적으로 외교부 홈페이지(www.fmprc.gov.cn)에서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전의 역사기술 부분을 삭제함에따라 고구려사 왜곡 문제가 '제2 라운드'로 접어들 게 됐다.
중국 당국의 이러한 조치는 역사분쟁을 통한 불필요한 마찰을 피하려는 의도로해석되지만, 이는 '고대사 기술에서의 고구려를 복원시키라'는 한국측의 요구와는상당히 동떨어진 조치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신봉길(申鳳吉)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5일 "지난 4일 서울과 베이징의 외교채널을 통해 중국 정부에 실망과 함께 유감을 표시했다"고 밝혔다.
고구려사 연구재단 최광수 상임이사(고려대 한국사학과 교수)는 "해방 이후의역사만 기술한 것은 우리 역사문제만 부정하는 조치로 해석할 수도 있으며, 이는 심각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앞서 중국 당국은 외교부 홈페이지에서 한국사를 소개하면서 한국은 '서기 1세기 이후 한반도 일대에서는 신라, 고구려, 백제 3개의 다른 정권 형태와 소속관계가 다른 국가가 형성되었다'는 문구를 지난 4월 20일 수정해 이 부분에서 '고구려' 부분을 아예 삭제했으며, 이날 자로 정부수립 이전의 역사기술을 아예 들어냈다.
정부는 이에 따라 이날 저녁 박준우(朴晙雨) 외교부 아시아태평양 국장을 중국으로 보내 고구려사는 우리 민족사의 불가분한 일부로 양보할 수 없는 역사적 사실이라는 입장을 전달하고, 외교부 홈페이지 복원은 물론 중국의 지방정부에서 진행되고 있는 왜곡조치, 출판물에 의한 왜곡조치에 대해서도 중지 및 시정을 촉구할 예정이다.
정부가 이처럼 중국 당국의 현대사 이전 한국사 삭제 조치에 강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이러한 미봉책이 또 다른 왜곡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정부는 연초 중국내 학계 일각의 고구려사 편입 논란과 이달 초 신화통신, 인민일보 등 관영매체가 '고구려는 (중국 왕조의) 지방정권'이라고 보도했을 때만 해도내심 문제점은 인식하고 있었지만 정부 차원의 공식적인 '액션'은 보이지 않다가 외교부 홈페이지의 개정 사실이 파악된 지난 6월부터 공식으로 대응해왔다.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는 정부 차원의 대외적인 공식 표현수단이라는 점에서 '고구려' 삭제 행위가 더 이상 학술 차원의 문제가 아닌 외교문제라고 인식했기 때문이다.
한-중 양국은 지난 2월 13∼15일 중국 외교부 왕 이(王 毅) 부부장의 방한을 계기로 양국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고구려사 문제를 정부 차원이 아닌 학술 차원에서 접근해 나가자고 합의한 바 있다.
정부 관계자는 "지난 4월 20일 외교부 홈페이지의 '고구려사 삭제행위'는 양국간 합의 위반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중국 당국은 이게 외교분쟁으로 비화되자 아예현대사 이전 부분을 삭제한 것은 이러한 입장의 연장으로 복원 의지를 의심케 한다" 며 "논란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