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을 긍정적으로 묘사하고 남한은 부정적으로 기술한 근.현대사 교과서를 전국 1천415개 고등학교 가운데 절반의 학교가 교재로 쓰고 있다니 크게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민중사관적 시각에 따른 편향적 내용을 학생들에게 주입한다면 이 나라가 과연 어디로 가게 될지 걱정이다.
이쯤 되면 역사 왜곡을 일삼는 일본이나 중국을 탓하기에 앞서 우리 내부에서의 역사 왜곡 문제부터 바로잡아야 한다는 비판이 높아지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이번 국정감사에서 한나라당 권철현 의원은 "701개 고등학교가 채택하고 있는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전반적인 내용이 친북.반미.반재벌 관점"이라고 밝혔다.
금성출판사가 펴낸 이 교재가 광복 이후 남한의 역사를 '미군정 및 독재정부 대 남한 민중'의 시각에서 부정적.냉소적으로 일관한 반면 북한은 민족 자존을 지키며 끊임없이 변화를 추구하는 합리적 체제인 것처럼 기술하고 있다는 것이다.
새마을운동은 '장기 집권의 수단'이었으며, 천리마운동을 상대적으로 호평한 대목에는 아연실색할 수밖에 없다.
안병영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심사위원회에서 다시 검토해 필요하면 수정 작업을 하겠다"고 답변한 뒤, 곧 "엄격한 절차를 거쳐 검정된 내용으로 객관적 사실을 서술한 것이며, 친북 좌파의 내용으로 볼 수 없다"고 번복했다니 기가 찰 따름이다.
검정 교과서가 이 모양이니 정부가 균형감각을 잃고 있다는 소리가 아니고 무엇이겠는가.
이 나라 미래의 주역이 될 학생들에게 좌파 성향 학자들의 주장하는 역사를 주입시켜 어떻게 하겠다는 건지 도대체 이해할 수 없다.
역사 평가는 객관성이 생명이다.
정부는 정치색으로 오염된 검정 교과서들은 반드시 수정 작업을 통해 다시 제작하는 게 옳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