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강영두기자 = 국내 기업투자 위축의 가장 큰 요인으로 손꼽혀
온 각종 행정규제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개혁위원회가 6일 국회 재정경제위 우제창(禹濟昌.열린우리당) 의원에게 제
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법률및 대통령령 등 법적 근거에 의한 행정규제는 지
난 99년 7천141건에서 2000년 7천175건, 2001년 7천479건, 2002년 7천732건을 거쳐
지난해 7천829건으로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지난 4년간 매년 147건씩 늘어난
셈이다.
올 들어 정부의 각종 규제 철폐 노력에도 불구하고 신규 규제가 더욱 많이 늘어,
이달초 현재 행정규제는 모두 7천890건에 달했다.
특히 이 가운데 재정경제부, 금융감독위원회 등 경제관련 부처의 규제가 6천318
건에 달해 전체의 80.1%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부처별 규제 현황을 보면 건설교통부와 보건복지부가 811건으로 가장 많았
고, 이어 환경부 635건, 해양수산부 604건, 금감위 566건, 농림부 503건, 산업자원
부 412건, 재경부 410건, 노동부 356건 등 순이었다.
우 의원은 "법적 근거를 지닌 규제외에 내규, 지침 등 각 부서의 자의적 판단에
따라 시행되고 있는 각종 규제를 포함한다면 기업들이 실제로 체감하는 규제의 정도
는 더욱 심할 것"이라며 "규제완화를 포함한 규제개혁 조치는 정부의 추가 지출부담
없이 기업의 요구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만큼 재경부 등 관련부처의 적극적
인 개선의지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