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입시 고교등급제 논란이 증폭되고 있다.
비강남권 학부모들과 전교조 등 교원단체는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고 대학 측에서는 30%가 '수'를 받는 등 내신 부풀리기가 엄연한 현실이고 고교간 학력차가 커 고교등급제는 변별력 강화를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고교등급제는 한국 교육의 불신과 실패를 상징하고 있다.
먼저 대학 측에 묻고 싶다.
선배들의 진학 성적을 근거로 후배들에게도 비교우위를 인정하는 것은 교육이념에 위배되는 것이 아닌지 묻고싶다.
학생들을 평가할 다양한 기준과 방식을 찾는 대신 고교등급제라는 손쉬운 방법을 택한 것이 아닌가.
일선 학교와 전교조도 달라져야 한다.
사실상 부정에 가까운 내신 부풀리기를 하고 평준화를 명분으로 무작정 등급제를 반대하면 어떻게 하는가.
완벽한 입시제도를 만드는 일은 불가능에 가깝다.
하루 아침에 평준화의 틀을 허물 수도 없다.
각 교육주체는 소모적인 이념논쟁을 할 것이 아니라 학력차를 반영하면서 실력 있는 학생을 선발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머리를 맞대야 한다.
이자연(대구시 용산동)
댓글 많은 뉴스
[단독] 4대강 재자연화 외친 李 정부…낙동강 보 개방·철거 '빗장' 연다
李대통령, 24일 취임 후 첫 대구 방문…"재도약 길, 시민 목소리 듣는다"
李대통령, 24일 대구서 타운홀미팅…"다시 도약하는 길 모색"
나경원은 언니가 없는데…최혁진 "羅언니가 김충식에 내연녀 소개"
냉부해 논란 탓?…李 대통령 지지율 52.2%로 또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