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40대 후반 가계소득 50대 초반 앞질러

올 들어 경기침체로 명예퇴직 연령이 낮아지면서 50대 근로자들의 퇴직이 급증, 40대 후반의 가계소득이 50대 초반을 큰 차이로 앞지르고 있다.

이는 명퇴 연령이 50대 후반에서 50대 초반으로 앞당겨지면서 우리 사회의 주도층이 50대 초반에서 40대 후반으로 옮겨가고 있음을 방증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5일 통계청의 가계수지 동향에 따르면 도시의 생산직, 사무직 근로자의 지난 3/4분기 가구주 연령별 소득은 45~49세가 356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40~44세 341만8천원 △50~54세 339만9천원 △35~39세 319만2천원 △55세 이상 308만5천원 △30~34세 297만2천원 △25~29세 263만9천원 △25세 이하 201만5천원 등이었다.

가구주 연령이 45~49세인 가구의 소득은 작년 4분기까지만 해도 318만7천원으로 50~54세의 332만2천원에 못 미쳤으나 올해 1분기 346만3천원을 기록, 50~54세의 328만9천원을 넘어선 후 3분기 연속 최고를 기록했다.

45~49세의 분기별 가구소득이 50~54세를 넘어선 것은 지난 2002년 1분기 이후 2년 만이며 3분기 연속 최고를 기록한 것은 지난 1992년 3분기~1993년 1분기 이후 11년6개월 만이다.

최근 코오롱과 현대중공업, KT 등 대기업들마저 대대적인 감원을 추진하는 등 올해 4분기에도 경기부진으로 50대 이후의 고용상황이 불안한 점을 감안하면 45~49세 가구소득이 사상 처음으로 4분기 연속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합)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