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은 이상한 선거였다.
인물이나 정책 대결이란 총선 고유의 선거전이 아니었다.
오로지 대통령 탄핵에 대한 찬·반 싸움판으로 치달아 대통령 신임투표 양상으로 변질했다.
그 결과는 미증유의 대통령 탄핵을 들고나온 정당들의 몰락이었다.
구 정치인들은 정치판에서 떠밀려 났으며, 정치판을 좌지우지해 왔던 3김시대도 JP의 낙선으로 퇴장당했다.
대신, 그 자리엔 생판 초면의 30, 40대 들이 대거 등장했다.
초선 당선자가 3분의 2에 육박하는 일대 사건이었던 것이다.
선거를 통해 의석을 3배나 불렸던 열린우리당은 시민혁명이라며 환호했다.
진보와 보수가 이처럼 극명하게 갈린 적도 없었다.
민주노동당이 제 3당으로 원내에 진출하는 파란을 일으킨 반면 한나라당은 제 2당으로 밀려났고 민주당과 자민련도 군소정당으로 침몰했다.
보수당 일색이었던 정치권에 이념적 스펙트럼이 다양해진 점 또한 한국 정치사에 기록할 만한 긍정적 변화였다.
그러나 순수성을 유지해야 할 시민단체 일부가 선거과정에서 정치권에 밀착했고, 그것도 집권여당에 기울어져 활동했다는 비판이 따랐다.
한국 정치풍토의 고질인 지역주의적 투표행태가 약해졌다고는 하지만 제 1, 2당의 지지기반을 동, 서 지역으로 확연히 양분시킨 것은 여전히 유권자의 숙제로 남겨졌다.
서봉대기자 jinyoo@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