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노대통령 '홍석현 카드' 발탁 배경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이 홍석현(洪錫炫) 중앙일보 회장을 한승주(韓昇洲) 주미대사 후임으로 내정한 배경을 둘러싼 궁금증이 일고있다.

노 대통령이 외교와는 거리가 먼 경제연구직과 언론인 출신을 조지 부시 2기 행정부 출범을 앞두고 중요성이 한층 커지고 있는 주미대사에 전격 발탁한 데는 그만큼 각별한 사유가 있지 않겠느냐는 이유에서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일단 홍 회장이 국제정치에 대한 폭넓은 식견을 가졌음은 물론 대북 화해협력 정책을 일관되게 지지해 왔고 합리적 실용주의 사고를 가져 참여정부와 호흡을 잘 맞출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

나아가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산업공학 석사와 경제학 박사를 거친 홍 회장이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 내정자 등 미 조야 인사들과 친분이 있을 뿐 아니라 세계신문협회 회장 등을 지내 워싱턴포스트, 뉴욕타임스 등 미 주류 언론과도 폭넓은 관계를 가진 점이 두루 평가됐다는 분석이다.

실제 '홍석현 카드'는 미국의 여론주도층을 겨냥한 '파격' 그 자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홍 회장은 이런 이유로 참여정부 출범때부터 외교통상부, 통일부 장관 후보군에 포함돼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다.

결국 노 대통령은 홍 회장의 이 같은 장점을 살려 교착상태에 빠진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한미공조와 6자회담 진전, 한때 동요 조짐을 보였던 한미동맹관계 강화 등을 추구함으로써 한승주 대사가 다져 놓은 양국관계를 더욱 내실있게 일궈 나가려는 의지를 확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노 대통령은 또 홍 회장이 언론계에 발을 들여놓기 이전에 세계은행(IBRD) 경제개발연구소 경제조사역, 재무부장관 비서관, 청와대 보좌관, 삼성코닝 상무이사 등 다양한 일들을 해 폭넓고 유연한 사고를 할 수 있다는 점도 높이 평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 핵심관계자는 "이번 인사는 노 대통령의 뜻도 뜻이지만 주변의 추천이 많이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해, 홍 회장의 두터운 인맥도 짐작게 한다.

앞서 노 대통령은 취임 1주년을 기념해 2월16일 청와대에서 홍 회장과 특별대담을 무려 3시35분간이나 해 당시로선 상당한 주목을 받았다.

당시 홍 회장은 다른 방문자들과 달리 패찰없이 청와대를 '프리 패스(free pass) '하고 외국 귀빈에게 식사 등을 제공하기 위해 꾸며놓은 전통가옥 형식의 상춘재에서 회담을 진행하는 등 장관급 예우를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