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엄마는 훈장님-동짓날 팥죽먹는 이유

동지(冬至)는 글자 그대로 '겨울[冬]이 극진한 데까지 이르렀다[至]'는 뜻으로 일 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이다. 하지(夏至)는 이와 반대가 된다. 옛 사람들은 이 날이 태양이 기운을 *回復(회복)하는 날이라고 여겼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의하면, 동짓날을 '아세(亞歲)'라 하였고, 민간에서는 흔히 '작은 설'이라 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동지를 지나야 한 살을 더 먹는다'는 *俗談(속담)도 있는 것이다.

동짓날에는 팥죽을 쑤어 먹는 풍습이 있다.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여기에 찹쌀을 이용해 새알만한 크기로 둥글게 빚은 새알심을 넣어 먼저 익힌 뒤, *祠堂(사당)에 올려 *茶禮(차례)를 지낸다. 다음 여러 그릇으로 나누어 방과 마루, 곳간, 헛간 등에 놓아두며, 대문이나 벽에는 뿌려 둔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팥의 붉은색이 귀신을 쫓는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동짓날 팥죽을 쑤게 된 유래(由來)는 중국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의하면, 공공씨(共工氏)의 망나니 아들이 동짓날 죽어서 역신(疫神)이 되었는데, 그 아들이 평상시 팥을 싫어했기 때문에 사람들이 역신을 쫓기 위해 동짓날 팥죽을 쑤어 악귀를 쫓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옛 사람들은 이웃 동네에 염병(染病)이나 온역(瘟疫) 등의 전염병이 돌면 즉시 팥죽을 쑤어 먹음으로써 무사하기를 기원했다고 한다. 동지 팥죽은 잔병을 없애고 액을 면할 수 있다고 해서 이웃 간에 돌려가며 서로 나누어 먹었다고 한다. 지금도 경사스러운 일이 있을 때나 재앙이 있을 때 팥죽, 팥밥, 팥떡을 하는 것은 모두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조선 시대에는 동지 무렵이면 관상감(觀象監)에서 왕에게 새해의 달력을 바쳤고, 이를 받은 왕은 관원들에게 달력을 나누어 주었다. 동짓날은 *復興(부흥)을 뜻하는데 이날부터 태양이 점점 오래 머물게 되어 낮이 길어지므로 한 해의 시작으로 보고 새 달력을 만들어 가짐으로써 신년맞이 준비를 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풍속은 여름 단오에 부채를 주고받는 풍속과 아울러 하선동력(夏扇冬曆)이라 하였다. 동지는 양력으로 12월 22일 무렵인데, 요즘도 이 무렵이면 새해의 달력이 많은 이들에게 *配布(배포)된다. 이는 동지 무렵 세시 풍속의 *延長(연장)으로 볼 수도 있다.

동짓날 부적으로 '사(蛇)'자를 써서 벽이나 기둥에 거꾸로 붙이면 악귀가 들어오지 못한다고 전해진다. 또 동짓날 날씨가 온화하면 다음 해에 질병이 많아 사람들이 많이 죽는다고 여겼으며,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추우면 풍년이 들 *徵兆(징조)라고도 한다. 또 고려'조선 초기의 동짓날에는 어려운 백성들이 모든 빚을 *淸算(청산)하고, 새로운 기분으로 하루를 즐기는 풍습도 있었다.

또, 동짓날 새 버선을 신고 이 날부터 길어지는 해 그림자를 밟고 살면 수명이 길어진다고 해서 장수를 비는 의미에서 며느리들이 시할머니, 시어머니를 비롯한 시집의 기혼녀들에게 버선을 지어 바쳤다고 한다.

내일은 冬至다. 예전처럼 다양한 풍속은 행해지지 않지만, 팥죽을 쑤어 먹음으로써 가족의 안녕과 행복을 기원하는 일 만큼은 여전하다. 팥죽을 먹으면서 2005년 한 해도 가족 모두 건강하고 행복하게 지낼 수 있도록 기원해보자.

자료제공 : 장원교육 한자연구팀

*回復(돌 회, 돌아올 복) : 이전의 상태로 돌아옴

*俗談(풍속 속, 말씀 담) : 민중의 지혜가 응축되어 널리 구전되는 민간 격언

*祠堂(사당 사, 집 당) : 신주를 모신 집, 또는 신주를 모시기 위하여 집처럼 자그마하게 만든 것

*茶禮(차 차, 예도 례) : 음력 초하루'보름이나 명절날, 또는 조상의 생일 등에 지내는 간단한 낮 제사.

*復興(다시 부, 일 흥) : 쇠(衰)하였던 것이 다시 일어남.

*配布(짝 배, 펼 포) : 널리 나누어 줌

*延長(끌 연, 길 장) : (일정 기준보다) 길이 또는 시간을 늘임

*徵兆(부를 징, 조짐 조) : 어떤 일이 일어나려고 하는 조짐

*淸算(맑을 청, 셈 산) : 서로 채권'채무 관계를 셈하여 깨끗이 주고받음

*下賜(아래 하, 줄 사) : 왕이나 국가 원수 등이 아랫사람에게 금품을 줌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