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에서 미꾸라지를 잡아 서울 상인에게 판매하는 어부가 있었다.
이 어부가 미꾸라지를 팔러 서울에 가면, 번번이 애써 잡은 미꾸라지들이 다 죽어 버리는 문제가 반복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 어부는 우연히 잡힌 장어를 미꾸라지 어항에 넣었더니 미꾸라지들이 요동치며 생기가 되살아나는 것을 발견하고는, 미꾸라지를 팔러갈 때마다 장어를 함께 넣어가 산 미꾸라지를 높은 가격에 팔았다는 일화가 있다.
이 이야기는 생존본능에 대한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경쟁의 효용에 대한 비유로 더 가치가 있을 것 같다.
우리는 IMF사태라는 질곡을 거쳐오면서, 시장경쟁이 치열한 업종에 속했던 기업은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여 잘 나가고 있는 반면, 정부의 보호 또는 비경쟁적인 환경에 안주했던 기업들은 이미 사라졌거나 겨우 명맥만 유지하고 있는 사실을 경험한 바 있다.
요즈음 지역사업자들 간에 대구경제가 유난히도 어렵다는 이야기가 단골메뉴이다.
사실 1인당 지역총생산액이 수년째 전국 최하위권를 맴돌고 그 증가율마저도 같은 현실이니 사업하시는 분들의 심정이야 오죽하겠는가! 하여 필자는 지역사업자들의 공통된 첫 일성인 "죽을 지경이다"를 "살 맛 난다"라고 바꿀 수는 없을까 되뇌어본다.
그리고 급할수록 돌아가고 호랑이를 잡으려면 호랑이굴로 들어가는 길밖에 없다라고 우답(愚答)을 한다.
지역정부와 각 사업자단체는 모두를 아우르기보다는 '선택과 집중'으로 핵심역량을 배가시키는 산업·경제정책을, 기업들은 공정한 효율경쟁을, 소비자는 까다롭고 현명하게 제품을 선택하는 즉 시장경제원리와 원칙에 충실하는 길만이 먼길을 돌아가는 것 같지만 첩경이라고….
누구나 치열한 경쟁을 회피하고 싶겠지만, 피하려야 피할 수 없는 무한경쟁의 시대에 살고 있는 이상, 지역경제 주체 모두가 치열한 경쟁, 그 호랑이굴로 들어가는 사즉생(死卽生)의 결단과 경쟁을 촉진시키는 장어역할을 자임하기를 기대한다.
공정한 경쟁은 번영을 가져온다.
대구공정거래사무소 가맹사업거래과장 최상룡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