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생 고(故) 박종철군이 1987년 1월 14일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물고문으로 숨진 직후 경찰이 사망 장소를 조작하려고 시도했다는 증언이 사건 발생 19년만에 나왔다.
사건 당시 검안을 맡았던 중앙대 의대 오연상(49) 교수는 6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형사들은 이미 박군이 숨진 상태였음에도 중앙대 용산병원 응급실로 시신을옮기려 했다"고 밝혔다.
중앙대 용산병원에서 전임강사로 근무했던 오 교수는 형사들이 시신을 병원으로옮기려 했던 것은 '응급실에 들어왔을 때까지 살아 있었다'고 우기려 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형사들이 자꾸 고집을 피우길래 병원에 전화해 '죽은지 최소한 30분 이상지났다. 절대로 응급실로 들여보내서는 안 된다'고 말했으며, 병원측은 직원들을 동원해 경찰 차량을 막았다"고 회고했다.
경찰은 병원측과 실랑이를 벌이다 뜻을 이루지 못하자 시신을 경찰병원으로 옮겼다고 오 교수가 전했다.
사건 당일 정오께 병원 응급실장의 호출을 받고 왕진을 갔던 오 교수는 현장 도착 당시 박군의 심장이 이미 멎어 있었으며 심폐소생술을 실시하고 강심제를 주사했는데도 소생할 기미가 없어 30분 뒤 사망 진단을 내렸다고 말했다.
그는 또 사건 사흘 뒤 신길동 대공분실에서 조사받았을 때 형사 두 명이 '(고문관련자들이) 아직도 (사건경위에 대해) 얘기를 안 했어? 손 좀 봐야겠구만'하는 말을 들었다고 증언해 사건 조사 과정에서 물리력이 행사됐을 가능성을 추정케 했다.
하지만 그는 "당시 박군을 고문했던 경찰관들이 옆 방에서 조사받고 있었던 것으로 짐작되지만 방음시설이 철저해 말소리나 비명소리는 듣지 못했다"고 말했다.
한편 오 교수는 사건 당시 물고문 정황을 언론 등에 밝힌 배경과 관련, "워낙독재정권의 서슬이 퍼렇던 시절이어서 진실을 말하는 데 부담이 있었지만 어영부영넘어가는 것도 위험하긴 마찬가지였다. 상황을 확실하게 밝혀서 진술 번복이나 사건은폐가 불가능하게 해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