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정부의 '5+2 광역경제권'구상에 따른 대구경북 광역경제권이 정착·성공하기 위해서는 국제관문공항, 대구권 광역교통망 등 인프라 구축이 선행돼야 가능한 것으로 분석됐다.
19일 오후 대구경북연구원에서 열린 '신정부 광역경제권 구상, 어떻게 볼 것인가, 대구경북의 대응방안'에 관한 정책세미나에서 오창균 대경연 연구위원은 "대경광역경제권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영남권 신공항 조기 건설이 최우선 과제이고 이와 함께 구미-대구-경산-포항간 복선철도화는 광역교통망 구축, 포항 영일만 신항 조기완공을 통한 해운물류 중심기지 활용 등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오창균 연구위원은 광역경제권의 성공 조건으로 인프라, 산업역량, 분권과 균형발전 등이 필요하지만 특히 대구경북의 경우 취약분야인 인프라 확충이 가장 중요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오 위원은 이와 함께 수도권 규제완화와 광역경제권 구상은 모순되는 측면이 강하다며 ▷다른 광역경제권과 차별화된 산업 육성 ▷지역의 기술력과 산업 역량 결합이 가능한 에너지, 의료, 부품소재산업 육성 ▷지역중심의 기획권과 재정권 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날 세미나에서 서정해 대구전략산업기획단장 등 주제발표자와 토론자들은 "광역경제권 구상이 오히려 지방의 공동화를 유발하고 중앙집권 강화의 우려가 있다"며 "지방이 대타협이냐, 아니면 전면적인 투쟁을 할지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차기정부가 수도권 규제완화를 하고 광역경제권 구상에 순응한다면 이와 상응하게 공공기관 이전부지, 노후공단 등을 정비발전지구로 지정해 지방에 대기업의 입지와 진출을 위한 혜택을 주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경북대 '반한집회'에 뒷문 진입한 한동훈…"정치 참 어렵다"
한동훈, 조기대선 실시되면 "차기 대선은 보수가 가장 이기기 쉬운 선거될 것"
"尹 만세"…유인물 뿌리고 분신한 尹 대통령 지지자, 숨져
유승민 "박근혜와 오해 풀고싶어…'배신자 프레임' 동의 안 해"
법학자들 "내란죄 불분명…국민 납득 가능한 판결문 나와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