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에서 산 쪽으로 맨 끄트머리 집 나이 육십 돼 과부장가 든 김효만씨, 묵은 아궁이에 군불 지피느라 진땀깨나 뺍니다
며칠 전 새 마누라 자리가 넌지시 안채보다는 사랑채가 거허기 좋겄다고 들녘도 훤히 뵈고 드나들기도 편허겄다고 했던 말 따라 이튿날로 팔 년 동안이나 안 때던 부엌에 무쇠솥 다시 걸고 뒷산 올라 어영차 나무까지 해왔는데
무슨 일인지 김효만씨 궁시렁대는 소리 사립문 밖까지 나옵니다 어라 이노무 장작이 왜 이런댜 붙으란 불은 안 붙구 연기만 폴폴 지리고 자빠졌네 아궁이도 그려 아무리 새로 손봤다 혀도 쓰던 아궁인디 어째서 헛심만 빼내고 그러능겨
그 바람에 도토리 훔치러 왔던 청설모만 화들짝 도망칩니다
군고구마에 목 빼던 마누라 자리가 그 새를 못 참고 한 마디 던집니다
쑤석거리기만 헌다고 불이 불겄슈 갈잎 쏘시개 먼저 타게 허고서나 장작을 들이밀던지 고구마를 넣던지 허야지 팔 년 묵은 아궁이가 어디 기다렸다는 듯 불을 들이겄남유
김효만씨 이래저래 혼자 생각에도 민망합니다 육십 나이에 부엌 들어가 아궁이에 사정사정 군불 한 번 지펴보자는 요량이 밤 깊을수록 남 우습습니다
'동네에서 산 쪽으로 맨 끄트머리 집'이니까 그 집 살림 형편 보나마나 뻔하다. 게다가 나이조차 육십이라니 이런 헌 신랑에게 누가 시집을 오겠는가. 운 좋게 새 마누라 자리 얻어걸린 김효만 씨, 혹시라도 마음 바뀔까봐 전전긍긍하는 모습 안쓰럽다. 안쓰러운 일 중 가장 안쓰러운 일이 제 몸을 제 마음대로 할 수 없는 경우. 허나 아무리 맘이 급해도 팔 년 묵은 아궁이에 쉽사리 '장작' 들이밀 수는 없는 노릇.
그런데 김효만씨, 사정사정 아궁이에 군불 한 번 지펴보려는 진짜 속셈은 어디에 있나. '들녘 훤히 뵈는' 곳에서 활활 불을 지펴야 올해 들녘에 풍년이 든다고 믿기 때문이 아닐까. 장옥관(시인)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
김민석 국무총리 첫 일정 농민단체 면담…오후엔 현충원 참배·국회의장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