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시장 침체에다 분양가 상한제 본격 시행에 따라 공동주택 사업 승인이 자취를 감추고 있다. 통상 사업 승인 신청 후 분양까지 1~2년 걸리는 점을 감안할 때 내년 하반기 이후 지역에서의 민간 아파트 공급이 급감할 것이란 전망을 낳고 있다.
지난 1월부터 3월 현재까지 1/4분기 동안 대구 지역에서 300가구 이상의 아파트 사업 승인을 받은 단지가 IMF 기간을 제외하곤 처음으로 '0건'을 기록했다.
공동주택 사업 승인이 사라진 것은 분양가 상한제를 앞두고 지난해 사업 승인을 앞당겨 받은 단지가 많은데다 2006년 이후 지역 주택 시장이 침체에 빠지면서 시공사들이 신규 수주를 중단하고 기존 수주 사업장조차 잇따라 사업 중단에 나서고 있기 때문.
대구 지역 공동 주택 사업 승인은 지난 2005년 2만1천700가구를 기록한 뒤 2006년 1만4천192가구, 2007년 8천595가구로 큰 폭의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대구건설협회 관계자는 "정부의 지방 부동산 규제책이 완화되지 않으면 공공택지 내 사업 승인을 제외하고는 당분간 민간 택지 내 아파트 사업 승인 신청은 거의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세대, 다가구 주택 사업 승인 물량 감소에 따라 건설 시장 또한 심각한 불황을 맞고 있다. 다세대, 다가구 및 개인 주택 등 전체 주거용 건축 허가 면적의 경우 2005년 691만7천㎡에서 2006년 472만8천800㎡, 2007년 348만4천㎡로 급감했으며 올 1월은 6만2천㎡, 2월은 1만8천㎡로 올들어 2월까지 허가 면적이 지난해의 2.3% 수준에 머물고 있다.
상업용과 공업용 건물을 포함한 대구 지역 전체 건축 허가 면적 또한 2005년 878만6천㎡, 2006년 727만3천200㎡, 2007년 591만3천㎡으로 감소 추세가 계속된다.
대구시 관계자는 "현재 진행중인 도심 재개발 사업이 활기를 보이기 시작하면 공동 주택 승인 물량도 어느 정도 증가하겠지만 미분양 물량이 워낙 많고 수익성이 악화돼 있어 예전 수준을 회복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