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화물연대 13일 총파업…운송·물류노조도 예고

교통·물류대란 초읽기

▲ 화물연대가 총파업을 결의한 9일 오후 대구시 북구 매천동 북부화물터미널에 물류 수송 화물차들이 가득 주차해 있다. 정운철기자 woon@msnet.co.kr
▲ 화물연대가 총파업을 결의한 9일 오후 대구시 북구 매천동 북부화물터미널에 물류 수송 화물차들이 가득 주차해 있다. 정운철기자 woon@msnet.co.kr

전국적인 물류 운수 대란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화물연대가 파업을 결정했고 민주노총과 건설노조도 파업에 들어갈 태세다.

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는 오는 13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하기로 했다고 10일 밝혔다. 화물연대는 '운송료 인상, 경유가 인하, 표준요율제' 등의 문제가 해결될때까지 무기한 파업을 벌이기로 했다.

화물연대는 9일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까지 ARS 방식으로 진행된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90.8%의 찬성으로 파업을 결의했다. 이에 따라 화물연대는 10일부터 지역 지부별 총회를 갖고 이날 대규모로 진행될 예정인 촛불집회에 참석, 파업분위기를 고조시킬 방침이다.

화물연대 대경지부 이오식 지부장은 "폭등하는 경유 가격과 운송료 정체로 화물노동자의 생존권이 위협당하고 있지만 정부는 임시방편책만 내놓고 있다"며 "11, 12일 간부들이 먼저 파업에 돌입한 뒤 정부와 교섭을 진행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오지 않으면 13일부터 전면 파업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대경지부의 조합원 1천100여명이 파업을 시작하면 물류수송량이 많은 구미 등 산업계의 '화물대란'이 우려된다.

화물연대 포항지부 경우 10일 포스코, 현대제철, 동부제강 등 10개 주요 화주사와 동방, 삼일, 한진 등 8개 대형 운송사 대표에게 협상을 제의했으나 "협상 당사자가 아니다" "해결 가능성이 없다"는 등의 이유로 거부당했다. 그러나 지부는 10일 오후 전 조합원들이 참석하는 지부총회를 열기로 해 사실상 이날부터 총파업에 돌입했다.

화물연대의 뒤를 이어 각종 운수·물류 노조들도 줄줄이 파업을 예정해 놓고 있어, 극심한 교통·물류 대란은 불가피한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덤프트럭과 레미콘 운전자 등이 소속돼 있는 건설노조의 경우 16일부터 총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해 놓은 상태다. 민주노총과 건설노조도 총파업에 가세할 분위기다. 민주노총은 10일부터 14일까지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를 위한 총파업 조합원 찬반 투표를 실시하고, 이르면 16일부터 파업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전국 533개 버스운송사업자 모임인 전국버스연합회도 요금인상, 유류세 환급 등의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16일부터 적자노선을 중심으로 30% 감축 운행에 돌입하기로 하는 등 교통·물류·운수 대란이 가시화되고 있다.

포항·박정출기자 jcpark@msnet.co.kr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