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도청이전 조례안 놓고 소모전·소지역주의 '기승'

경북도청이전 조례안을 놓고 도의회 내에 필요없는 소모전, 소지역주의가 또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도청이전 예정지가 안동·예천으로 확정됨에 따라 오는 20일 열리는 도의회 정례회에서 관련 조례안 통과를 앞두고 있지만 최근 일부 탈락지역 도의원들이 조례안 통과에 제동을 걸고 나서고 있다.

경북도는 지난 9일 안동과 예천 지역을 '도청이전 예정지'로 지정, 공고하고 '경북도청 소재지 변경에 관한 조례 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이에 따라 오는 20일 열리는 경북도의회 정례회 때 조례가 제정돼야 '도청이전 추진지원단'을 발족, 내년 6월말까지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등 이전절차를 밟은 뒤 2011년 9월을 전후해 청사신축 공사 등을 시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도의회의 조례제정은 재적의원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가결된다. 이에 따라 전체 55명의 경북도의원 중 28명 이상이 찬성해야 '도청 소재지 변경에 관한 조례'가 제정된다.

그러나 탈락지를 중심으로 일부 도의원들이 도청이전지 심사과정의 공정성 여부를 가리기 위한 '도의회 진상조사 특별위원회'구성을 요구하는 등 크게 반발하고 있어 진통을 예고하고 있다.

이재철 도의원(상주)은 "안동·예천이 접근성에 1위를 차지했다는 점에 대해 많은 도의원들이 납득하지 못하고 있다. 진상위를 구성해 조사 결과, 평가 과정의 문제점이 드러날 경우 조례안 통과는 어려울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안순덕 도의원(의성)은 "선출직인 도의원들로선 주민들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는 만큼 2년뒤 지방선거를 의식해서라도 정치생명을 걸고 도청소재지 변경에 관한 조례제정을 막을 가능성이 높다"며 도청이전의 표류가 재연될 가능성을 우려했다.

도의 한 관계자도 "도의원들이 대안없는 반대를 해선 안 된다. 더 이상 소지역주의에 매몰되지 말아야 한다"며 "조례안 통과가 늦어질수록 도청이전 차질 비난 여론이 도의회에 쏠린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라고 했다.

최창희기자 cche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