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음식쓰레기 대란 장기화…市-업체 협상 결렬

6일째를 맞은 대구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중단 사태가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시와 음식물쓰레기 처리업체들은 11일 오후 시청에서 4시간 넘게 2차협상을 가졌으나 의견차를 줄이지 못해 협상이 결렬됐다. 권태형 환경녹지국장 등 시 관계자 4명과 최성근 한국음식물자원화협회 영남권협의회장 등 회원업체 대표 13명이 참석해 머리를 맞댔으나 시는 공공처리시설 증설 필요성을, 업계는 백지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시는 10일 열린 1차협상에서 1일 300t 처리용량의 공공처리시설 증축사업을 수익형민자사업(BTO)으로 추진해 업체들이 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제안, 한때 타결 기미가 보였지만 11일 열린 2차협상에서 업체 대표들은 증축사업 백지화 주장을 되풀이했다. 시는 업체들이 BTO사업 참여를 놓고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한달간의 시간을 주겠다고 제안했지만, 업계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시 관계자는 "제3자 공모를 통해 업체들이 BTO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고 제안했으나 이를 거부하면서 협상에 진전이 없다"며 "시는 시민 불편을 담보로 하는 업체들의 단체행동에 한발도 물러설 수 없다"고 했다.

업체 대표들은 "BTO방식의 사업참여 경우 이미 여러 업체들이 사업설명회를 갖는 등 준비에 들어가 있고, 최초 제안서를 제출하는 업체만 인센티브가 적용돼 시의 제안은 명분 찾기일 뿐"이라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공공처리시설 증설 때까지만 물량을 처리하면 되지 않겠느냐는 시의 입장은 업체를 고사시키려는 정책"이라고 반발했다. 한국음식물자원화협회는 대구 사태가 원만하게 해결되지 못할 경우 중앙 협회 차원에서 음식물쓰레기 처리 중단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다.

협상 결렬에 따라 시는 음식물쓰레기 사태가 장기화될 것에 대비하고 있다. 시는 "신천하수병합처리장의 풀가동과 소각장 처리 등 공공처리시설의 처리비율을 높이고 있어 처리에는 차질이 없다"며 "민간 처리용량이 많아 불편이 큰 달서구에는 수거차량을 지원해 수거에 나서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두성기자 dschoi@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