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쇠고기 파동 현명하게 극복할 때

이명박 대통령이 19일 특별기자회견에서 미국 쇠고기 수입 문제에 대해 철저히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30개월 이상 쇠고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미국 정부가 실질적으로 보장하지 않을 경우 수입위생조건 고시도, 수입도 없다는 점을 강하게 밝힌 것이다. 쇠고기 수입으로 인한 더 이상의 민심 악화와 국정 혼란을 막기 위해 모든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약속한 것이나 다름없다.

지난달 대국민담화 때와는 달리 어제 기자회견에서 대통령은 쇠고기 수입 재개 배경과 향후 조치에 대한 정부의 구체적인 입장을 밝히고 "뼈저린 반성을 하고 있다"는 사과와 최선의 대처를 약속했다. 국민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모르겠지만 대통령 입장에서는 나름의 의지를 명확히 밝힌 것이다. 대운하, 공기업 민영화, 정부 인적 쇄신 등에 대해서도 국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해나가겠다고 몸을 낮췄다.

우리는 지난 두 달간 쇠고기 민심을 눈으로 직접 확인했다. 대통령의 사과도 촛불도 모두 나라와 국민을 걱정한데서 출발한 것이다. 재협상이 아닌 둘러가는 길이 성에 차지 않겠지만 이 또한 문제를 풀기 위한 한 방법이다. 정부가 잘못한 것은 비판하되 상황에 따라서는 바르게 갈 수 있도록 최소한의 여지는 둬야 한다. 정부가 꼼짝하지 못하도록 앞뒤를 꽉 막을 경우 그 부작용을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

20일 오전 주미 한국대사관은 "한'미 장관급 5차 협상에서 양측이 서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도출했다"고 발표했다. 공식 보고 전까지 협상결과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쇠고기 추가협상이 매듭지어진 것이다. 정부가 국민이 우려하는 부분을 해소하려고 노력한 이상 결과가 미흡하다고 물독을 통째로 깨는 단계는 지났다. 차분하게 결과를 지켜보고 위기와 혼란을 추스르는 지혜를 모아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