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끼 염소가 죽었다.
난 지 사흘 만에 나선 첫 산책길
아카시아 향기에 취해 길을 잃었을까
누구의 귀에도 가 닿지 못한
울음 한 조각 물고
똥통에 빠져 죽은
염소의 검은 등을 밟고
수의라도 덮어 주려는 듯
구더기들 하얗게 몰려든다.
목덜미 털이 벗겨지도록
종일 새끼를 찾던 어미는
모르는 척 허겁지겁 밥그릇을 바닥까지 핥는다.
물기 젖은 염소의 눈길 가 닿는
사발 속 허공
어미 염소의 허기가
세상의 저녁을 흔든다.
첫 연의 '새끼 염소'와 마지막 연 '어미 염소'의 뚜렷한 대비. 새끼의 죽음과 어미의 허기. 새끼를 잃고도 입맛은 왜 이리 단가. 바닥까지 말갛게 핥아먹은 밥그릇에 비친 제 모습. 문득 허기가 부끄러워져 어미 염소는 창자가 끊어지도록 구슬프게 울어댄다.
죽지 않으려면 먹어야 한다, 사람이든 짐승이든. 사랑하는 이의 시신 앞에서도 국그릇을 끌어당겨야 하는 게 무릇 살아있는 것들의 숙명이다. 새끼 염소의 애처로운 '울음'을 삼킨 '똥통'은 이 벗어날 수 없는 숙명의 다른 이름. 하지만 달리 생각해보면 그런 죽음이 있기에 구더기들의 하얀 허기도 채워질 수 있는 것. 이래저래 허기가 세상을 흔드는 저녁이다. 시인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