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6년 경상북도 안동에 근대적 초등교육기관인 관립소학교가 설치된다. 명성황후 시해사건 이후 들어선 친일내각이 실시한 교육개혁으로 '소학교령'을 제정·공포하여 서울 및 지방 여러 곳에 관립·공립 소학교를 설치한다. '소학교령에 나타난 교육목적을 살펴보면 '아동의 신체발달에 비추어 국민교육의 기초와 그 생활에 필요한 보통 지식 및 기능을 갖추게 하기 위한 것'이라 적고 있다.
1895년 학무아문이 학부로 재편된 후 학부에 의해 7월 19일 '소학교령'이 공포되어 국고에 의해 서울에 관립소학교가 처음 설립되었으며 그뒤 대구, 춘천, 평양 등 각 지방관찰부 소재지에 먼저 설치되었다. 1896년에는 학부의 지정지로서 안동을 포함 강릉, 인천 등에 설립됐다. 관립소학교 교원은 검정시험에 합격한 사람 가운데 학부대신이 임명했으며 필요에 따라 외국인 교사도 채용할 수 있게 했다. 하지만, 정부의 재정적인 뒷받침이 충분치 못하고 국민들도 신교육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에 주로 한문습득만 할 뿐 이과교육은 실시되지 못했다.
이후 1906년 보통학교, 1938년 소학교, 1941년 국민학교로 사용해오다가 1996년 이후 일제잔재 청산차원에서 초등학교로 명칭이 바뀌었다.
▶1907년 대한제국 군대해산 조칙 발표 ▶1877년 에디슨, 축음기 발명
정보관리부 이재근
댓글 많은 뉴스
[단독] 예성강 방사능, 후쿠시마 '핵폐수' 초과하는 수치 검출... 허용기준치 이내 "문제 없다"
[르포] 안동 도촌리 '李대통령 생가터'…"밭에 팻말뿐, 품격은 아직"
李 대통령 "검찰개혁 반대 여론 별로 없어…자업자득"
이재명 정부, 한 달 동안 '한은 마통' 18조원 빌려썼다
김민석 국무총리 첫 일정 농민단체 면담…오후엔 현충원 참배·국회의장 예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