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행정개편 추진에 발목 잡힌 칠곡 市승격

주민 86%가 시 승격에 찬성해 이를 재도약의 발판으로 삼으려는 칠곡군이 최근 정치권의 행정구역 개편안 합의로 시 승격 운동에 비상이 걸렸다.

칠곡군은 14일 여론조사기관에 의뢰, 주민 1천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군정 및 행정서비스 만족도 조사(8월 21일~9월 20일) 결과 86.4%의 주민이 시 승격에 찬성했다고 밝혔다. 주민들이 선호하는 도시발전 형태는 첨단 도·농복합도시가 41.7%로 가장 많았으며 교육문화도시 25.4%, 비공해성 공업도시 17%, 고소득 상업농 도시 14.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는 것.

그러나 최근 열린 여야 영수회담에서 현재 240여개에 달하는 지방자치단체를 60~70개의 광역자치단체로 일원화하는 내용의 행정구역 개편안이 합의됨에 따라 고조되었던 시 승격 운동 분위기에 브레이크가 걸린 것.

이와 관련, 이인기 국회의원은 현행 지방자치법상 규정된 도농복합형태 시 승격 기준인 군(郡) 전체 인구 15만명 이상을 12만명으로 낮추고, 인구 2만명 이상의 도시형태(읍)를 갖춘 3개 이상 지역의 인구가 7만명 이상일 때도 시 승격이 가능토록 하는 법률안을 제출해 놓고 있다.

또 칠곡군과 칠곡군의회는 지금까지 시 승격 추진기획단과 시 승격 행정구역 통합추진 위원회 등을 구성해 정부 관련부처를 수십차례 방문하는 등 시 승격 활동을 펴왔다. 올해 창립 40주년을 맞는 왜관JC도 지난달 주민 3천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칠곡군민 시 승격 한마당 행사를 가지는 등 각 시민단체들도 여기에 힘을 보태고 있다.

그러나 여야가 초당적으로 협력하기로 한 현재의 3단계(광역시도-시·군·구-읍·면·동) 행정체제를 2단계(광역통합시-읍·면·동)로 줄여 광역화하는 지방행정체제 개편이 급물살을 탈 경우 칠곡군의 시 승격 운동은 결국 물거품이 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한편 정치권에서 행정구역 체제 개편 논의가 있을 때마다 칠곡군은 인접한 성주군과 고령군을 한데 묶어 광역화해야 한다는 방안이 줄곧 제시돼 개편논의 결과에 따라 칠곡군의 운명이 어떻게 될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칠곡·이상원기자 seagull@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