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이 퇴출을 면하려면

출범 2년째인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이 외자 유치 부진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은 지난 2008년 지정된 이후 모두 9개 외국 업체와 투자양해각서를 맺었으나 실제 투자한 기업은 프랑스의 3D 업체인 다쏘시스템 한 곳뿐이다.

향후 전망이 밝은 것도 아니다. 경제자유구역의 핵심인 신서혁신도시는 2012년까지 공공기관 이전이 끝나야 하지만 현재 공정률은 30%에 불과하다. 또 영천하이테크파크, 경산학원연구지구, 국제문화사업지구 등은 사업 시행자를 찾지도 못했다.

다른 지역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정부는 지난 2003년과 2008년 2차례에 걸쳐 전국에 6개 경제자유구역을 지정했으나 외국인 투자는 우리나라 전체 외국인 투자의 3.6%인 25억 8천만 달러에 불과하다. 경제자유구역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매력을 전혀 못 준다는 얘기다. 지역별 차별성도 없는데다 재정 지원,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는 적으니 당연한 결과다. 중국(5개)보다 더 많은 6개를 지정한 결과 '선택과 집중'도 안 됐다.

그렇다고 해도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의 외국인 투자가 단 1건에 불과하다는 것은 변명의 여지가 없다. 대구경북이 내륙이라는 입지적 불리함을 감안해도 너무 부진한 투자 유치 실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투자 유치 전략이나 업종 선택에 문제가 있거나 노력이 부족했다고 할 수밖에 없다. 획기적인 변화가 없다면 정부가 추진 중인 투자 부진 경제자유구역 구조조정에 대구경북이 포함되지 않을 것이란 보장이 없다. 지금까지의 투자 실적이 부진하면 장래성이라도 보여줘야 퇴출을 면할 수 있을 것이다. 과연 대구시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은 이런 노력이라도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